티스토리 뷰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폭탄은 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 사건으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있는데, 지난 4월 2일, 트럼프는 모든 미국 수입품에 기본 10%의 관세를 매기고, 국가별로 최대 50%에 육박하는 상호 관세를 발표했는데,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미국에 보복 관세를 선포했고 4월 3일, S&P500은 -4.84%, 나스닥지수는 -5.97% 폭락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트럼프를 향한 국제 사회의 불신으로 달러마저 하락했습니다. 이런 혼란 속에서 비트코인은 어떤 모습을 보였을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위기엔 안전자산
이 시기 유일하게 오른 것은 금입니다. 주식과 달러가 같이 떨어지는 위기에 금은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며 폭등했는데, 은행 시스템 붕괴, 경기 침체, 전쟁 같은 일이 생겨 불안감이 커지면, 위기를 피하려는 심리도 덩달아 커지기 때문에 안전 자산의 선호도가 오릅니다.
동시에 사람들은 디지털 금 비트코인에도 주목했습니다. 상호 관세 발표 직후 떨어졌던 비트코인 가격이 4월 9일부터는 다시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관세 전쟁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위험자산인 주식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이미 비트코인은 2013년 키프로스 은행 위기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위기 상황에서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안정성을 입준한 바 있습니다. 이렇듯 비트코인도 점점 안전자산의 지위에 가까워진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2. 위험이 해소되면 위험자산
5월 8일, 트럼프 행정부가 영국과의 상호 관세 합의를 체결했습니다. 이어 5일 12일에는 중국과 상호 관세를 30%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렇게 시장 불확실성이 사라지자 다시 위험자산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 전망이 밝아지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면 투자자의 위험 감수 심리가 살아납니다. 이때는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위험 자산 투자를 늘리는 위험 신호(Risk-On) 현상이 생깁니다. 대표적 위험자산인 주식은 바로 반응했습니다. 5월 12일 전 세계 주식시장 주요 지표의 80%가 상호 관세 발표 직후인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봤는데 덩달아 비트코인도 약 4개월 만에 10만 5,700달러(약 1억 5,440만 원)를 돌파하며 폭등했습니다.
3. 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일까? 위험자산일까?
이쯤 되면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인지 위험자산인지 헷갈리실 텐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트코인은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하이브리드 자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비트코인이 가진 안전자산의 특징은?
① 미ㆍ중 무역전쟁(20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2022) 등 정치ㆍ경제가 불확실할 때 올랐습니다.
② 최대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어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인플레이션에 강합니다.
③ 은행 폐쇄, 정부 통제 상황에서 탈중앙화된 자산으로 쓸 수 있으니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2) 비트코인이 가진 위험자산의 특징은?
① 매우 큰 변동성과 함께 주식 시장과 강하게 연동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②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
결국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하이브리드 자산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비트코인의 존재감을 더욱 높여준 셈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의 차이는 뭘까?
많은 사람들은 재테크며 투자를 하고 투잡을 가지고 삽니다. 참 힘든 인생입니다. 그중 투자를 하고 있다면 정말 지혜롭게 똑똑하게 투자를 해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내 자산을 안전하게 보
money-ssalon.com
금 투자 - 요즘 핫한 3가지 방법
안전자산이라고 말하는 것 중 하나는 금입니다. 이 금이 요즘 시세는 천정부지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위해 금 투자에 열을 올리는 실정입니다. 어떤 환경인지 모르
hazzza.money-ssalon.com
비트코인이 추락한 원인, 마운트곡스란?
재테크를 생각하면 요즘은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말합니다. 그중에 비트코인은 한때 가격이 8,000만 원 밑까지 추락했는데 시세 하락 요인은 다양하지만 마운트곡스 사건 피해자 보상이 주원인으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