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작년부터 계속 금값이 오르고 있는데 올해 들어 최고가를 찍었습니다. 작년에 금값이 오를 때 많은 분들이 팔았을지도 모르지만 현재 더 올라 속상해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국제 금값이 온스당 2,844.56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우상향 그래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22년간 네 번을 제외하고는 수익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습니다. 작년은 수익률이 약 26%에 달했는데 말입니다. 어떻게 된 이유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불안한 국제 정세가 원인입니다.
금값은 경제가 불안해지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처럼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 대신, 안전자산인 금을 선택하는 투자자가 늘기 때문인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전쟁 위기감이 고조되며 금 수요가 늘어난 것입니다. 2022년부터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사들인 것도 금값 상승세에 기여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에 신흥국 중앙은행이 금을 많이 사들였습니다. 작년 세계금위원회(WGC)가 68개국 중앙은행에 물어본 결과, 10곳 중 3곳은 향후 1년간 금 보유를 늘릴 예정이라 답했습니다.
< 한국은행은 어떨까? >
반면, 한국은행은 금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습니다. 2013년 금 40톤을 사들인 것이 마지막입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은 그 가치가 안전하게 유지되고 상시 현금화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즉,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이 우선이라는 입장입니다.
2. 투자 방식도 다양해집니다.
금값이 오르자 소액으로 금에 투자하는 사람도 늘었습니다. 돌잔치에 1g짜리 미니 금반지와 금수저가 등장하는가 하면, 금을 0.01g 단위로 거래할 수 있는 e금 거래에도 투자자가 몰리고 있는데 e금은 실물 금과 동일한 가치를 지닌 디지털 자산으로, 금값이 상승하면 e금 가격도 함께 오릅니다. 중국은 가상자산 거래가 불법이어서 금 수요가 더 큰 편입니다. 지난해에는 중국의 경기가 둔화하며 금 투자에 관심 갖는 중국인이 급격히 늘었습니다. 특히 금콩(Gold beans)을 사려는 중국 Z세대가 눈을 띄었습니다. 무게가 1g밖에 되지 않는 금콩은 금괴만큼 가격대가 높지 않아 중국 사회 초년생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3. 상승세가 꺾인다는 예측도 있습니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3개월 전까지만 해도 올해 금값이 3천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금을 2025년 최고의 원자재 거래품목으로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올해 2,910달러를 찍는 데에 그친다며 예상치를 낮췄습니다.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되면 달러 가치가 높아져서, 금 수요도 주춤할 것이라 분석한 것입니다. 금값이 떨어질 거라 예상하는 기관도 있습니다. 가장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곳은 바클레이스(Barclays)와 맥쿼리(Macquarie)인데 두 곳은 금값이 올해 연말까지 약 4% 하락해 2,500달러까지 떨어질 거라 내다봤습니다. 올해도 달러 강세가 계속되어 금값이 상승세를 이어가기 어렵다고 본 것입니다.
< 은값도 덩달아 오릅니다. >
은 역시 금과 함께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은 채굴량이 줄어 공급량은 줄어드는 반면, 인공지능(AI)과 전기차 산업 발전으로 수요가 늘어난 것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글로벌 경제가 불안해지자 금값이 계속 오릅니다.
② 금 투자 방법도 더 다양해집니다.
③ 금값 상승세가 주춤해질 것이란 예측도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트럼프 -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대한민국 국민 중 많은 분이 싫어했던 대표적인 미국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 드디어 트럼프가 미국의 대통령으로 재선이 성공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는 인물입니다. 때문
money-ssalon.com
퇴직연금, 안 찾아간 1,100억
예전사람들은 기억하실 겁니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카피를 쓰는 광고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이 포스팅을 쓰며 갑자기 생각난 카피입니다만 지금은 노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
hazzza.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