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혹시 당근이세요?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다 알 것입니다. 중고거래의 대명사가 된 야채, 당근. 현재 우리나라의 중고거래 시장 규모가 올해 43조 원을 돌파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물가가 계속되고 있는 요즘, 새 제품을 사기보다는 좋은 중고를 착한 가격에 사서 사용해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중고 거래가 늘면 새 제품을 구입하듯이 GDP가 오를까 궁금해졌습니다. 어떤 내용일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GDP는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의 합입니다.
국내총생산(GDP)은 개인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 지출로 이뤄집니다. 보통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의 합을 말합니다. 자전거를 예로 들어봅시다. 본체 제작 회사가 만든 부가가치 30만 원, 바퀴 제조 회사가 만든 부가가치 20만 원이 더해져 소비자가격은 50만 원이 됐습니다. 누군가 이 자전거를 제 가격에 샀다면 GDP는 50만 원만큼 늘어납니다. 하지만 중고 거래로 샀다면 달라집니다.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가 없어서 GDP도 오르지 않습니다. 나중에 중고로 산 자전거의 가치가 올라 소비자가 보다 비싸게 팔려도 GDP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만약 자전거 가게 사장님이 중고 자전거 매입 후, 20만 원의 이익을 남기고 팔았다면 GDP는 올라갑니다. 서비스업 부가가치가 새로 생겼기 때문입니다.
2. 시장에서의 소비는 GDP를 올립니다.
엄마가 담근 김치도 살펴봅시다. 직접 담근 김치는 부가가치를 만듭니다. 하지만 시장에서 팔지 않고 집에서만 소비하면 GDP엔 변화가 없습니다. 만약 마트에서 배추와 양념을 샀다면, 시장에서 소비가 일어났기 때문에 GDP는 올라갑니다. 하지만 직접 기른 채소로만 김장을 했다면, 시장에서의 부가가치는 0이 되는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유기동물 - 입양하면 지원금을 받는다?
지금은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는 것보다 반려견이나 반려묘들을 키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좋은 마음으로 가족같이 키우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아기였을 때 귀여운 모습에서 성견
hazzza.money-ssalon.com
고속버스 안 - 와이파이 사용 가능!
자연스럽게 길을 걸을 때도 지하철을 타도, 버스를 타도 와이파이가 자동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요즘은 기차를 많이 타고 지방을 가곤 해서 고속버스에서는 와이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