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지금은 예전과 다르게 내 몸을 많이 생각합니다. 1인 가구인 분들은 더더욱 건강에 관심이 큽니다. 혼자이기 때문에 아플 때 나를 보살펴줄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이들 운동을 시작하거나 열심히 하는데 그중에 달리기가 요즘 추세인 것으로 보입니다. 러닝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면서 러닝의 정점인 마라톤도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국내에서 올해 열린 마라톤 대회만 400개가 넘는다는데, 얼마나 좋은지 아니면 민폐가 되는 것은 없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라톤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Q. 마라톤에 참여해 본 적이 있다? 없다?

① 있다          ② 없다

 

 

 

1. 엘리트 경기에서 모두의 경기로

마라톤은 고대 그리스 전쟁에서 마라톤 평야의 승전을 알리기 위해 아테네까지 달려간 병사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원래 마라톤 경기는 엘리트 선수들을 중심으로 기록의 분초를 다투는 대회였다고 합니다. 지금은 속도와 관계없이 완주에 의의를 두는 모두의 대회로 의미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1896년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근대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포함된 마라톤은 올림픽 정신을 대표하는 경기로 지금까지도 하계 올림픽의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그 시작은 1970년대 미국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미국 뉴욕에서는 러닝 붐이 불었고, 뉴욕시티 마라톤의 주최 측은 히피 문화, 시민운동, 여성 해방 운동 흐름에 맞춰 모두를 위한 마라톤을 메인 슬로건으로 내걸었습니다. 그 어떤 참가 제한도 두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상관없이 완주한 모두에게 메달을 수여하는 마라톤 문화를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도 세계 6대 마라톤 중 하나로 꼽히는 뉴욕 시티 마라톤은 올해 20만 명이 지원해 역대 최대 지원자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2. 마라톤 붐은 이미 왔다.

한국도 최근 러닝 인구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주요 마라톤 대회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신청 열기가 인기 콘서트 예매를 방불케 할 정도인데, 러닝의 인기는 실내 운동이 어려워진 코로나 시기를 기점으로 급증했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 워치와 러닝 앱 등이 보편화되면서 기록 관리가 쉬워진 것도 러닝 붐에 일조했습니다. 목표치를 달성할 때마다 얻는 성취감과 일정 시간이 지나면 찾아오는 행복감인 러너스 하이에 빠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러닝은 야외에서 할 수 있는 운동 중 가장 시간과 장소, 인원의 제약이 적으면서도 효과적인 운동입니다. 일상생활에서 틈틈이 뛸 수도 있고, 같이 운동할 동료를 쉽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3. 마라톤이 돈이 되는 이유

최근에는 기업과 지자체에서 먼저 마라톤 대회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는데, 마라톤 대회의 경제적 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스포츠 용품 산업 >

러닝 붐에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 운동화 시장 규모가 2021년 2조 7,761억 원에서 2023년 3조 4,150억 원으로 확대되었고, 그중 러닝화의 비중이 1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지자체도 주최 측에 마라톤 코스를 대여해 주면서 돈을 버는데, 서울시의 경우 올해 마라톤 장소 대여 수입만으로 6.8억 원을 벌어들였습니다. 마라톤 대회 참가를 위해 수천, 수만 명의 러너와 응원객이 이동하는 것 자체만으로 성공한 지역 축제 같은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국내 대표 마라톤 중 하나인 춘천 마라톤의 경우 2024년 대회 당시 요식업, 숙박업, 유통업 카드 결제액이 2주 전과 비교해 각각 25.5%, 61.8%, 6.2% 증가했습니다. 최근에는 해외 주요 마라톤 대회를 참가하기 위한 여행 상품도 생기고 있다고 합니다. 뉴욕 시티 마라톤의 경우 그 경제적 효과가 5,900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운동상품권 - 나라에서 최대 10만원을 줍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모두 아시리라 봅니다. 그러나 헬스장이나 운동 시설의 이용료가 부담스러워 망설이는 분들도 많습니다. 특히 소득 없는 노년층은 더욱 부담이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