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가도 금리도 점점 오르고 있고, 금값도 오르고 있습니다만 많은 금을 가지고 계신 서민분들은 많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다니지만 또 다른 부업을 하고 계신 분들도 많습니다. 부업을 하지 않더라도 재테크라는 이름으로 주식과 코인을 합니다. 그중 코인을 하시는 분들은 많은 불안을 안고 투자를 하시는데 이제는 안전하게 투자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안전한 투자를 위해 알아보았습니다.
1. 버거코인, 김치코인 뭘까?
버거 코인은 해외에서 발행된 암호화폐를 말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해외에서 발행되어 해외 거래소에 상장했다가, 국내 거래소에 상장된 후 가격이 급락하는 암호화폐를 일컫는 말로 더 많이 쓰입니다. 김치 코인은 국내 거래소에만 상장되거나, 거래량 대다수가 국내인 암호화폐를 뜻합니다. 가격이 급변하다가 큰 폭으로 떨어져 결국 상장폐지되곤 합니다. 한국 투자자 돈만 빨아들이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2. 공통점이 있습니다.
버거 코인과 김치 코인. 해외와 국내의 차이일 뿐, 개인 투자자에게 손실을 안겨주는 암호화폐를 얕잡아 부르는 말이라는 점이 같습니다. 특히, 국내 거래소 상장 후 가격이 크게 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한때 김치 코인에 투자했다가 반복되는 손실을 입고 상처 입은 국내 투자자가 많았습니다. 때문에 많은 투자자가 상대적으로 해외 거래소에 상장된 암호화폐를 안전하다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국내 거래소도 앞다퉈 해외 암호화폐를 상장하고 거래를 지원했지만 김치 코인이 버거 코인으로 바뀌었을 뿐, 상장 후 급등 → 급락 → 큰 하락의 패턴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2024년 10월 국회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한 의원은 국내 거래소가 버거 코인을 무분별하게 상장한 뒤 가격 하락을 방치하는 바람에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가 피해 보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3. 왜 국내 거래소만 오면 떨어질까?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기관투자자나 법인, 외국인이 거래할 수 없습니다. 즉, 개인 투자자만 시장에 참여합니다. 이는 필연적으로 큰 변동성과 잦은 불공정거래를 만들 수밖에 없는데 주식 시장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장조성자(market maker) 제도가 있습니다. 기관투자자의 거래량을 제어하고, 일정 범위 가격 안에서 거래될 수 있게 합니다. 암호화폐 시장에도 거래소의 불공정 거래 감시를 의무화한 가상 자산이용자 보호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지키는 건 거래소 자율이라 강제성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식은 거래소가 제한적이고 국가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불공정 거래 감시가 비교적 수월한데 암호화폐는 거래소가 여러 나라에서 각각 운영돼 감시하기 어렵습니다. 버거 코인, 김치 코인으로 인한 투자 피해를 줄이려면 제도 정비가 시급합니다. 암호화폐 상장기준 공개, 유통량 공시 제도 등으로 더 투명하게 거래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국내 암호화폐의 역차별 문제도 해소되고, 국내 거래소의 신뢰도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테리픽10 등장 - 나스닥 가고 중국 증시가 뜬다.
전 세계에서 자금이 중국으로 몰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홍콩 항셍테크지수가 올해만 37% 급등했습니다. 미국의 나스닥 지수가 약 10% 떨어진 것과는 대조적인데 어떻
hazzza.money-ssalon.com
마이크로스트레티지 - 비트코인으로 대박난 회사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비트코인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기업이 있는데, 마이크로스트레티지(MicroStratege)인데 최근에도 약 21억 달러 규모인 비트코인 21,550개를 매입할 정도로 비트코인에 진심인 기
hazzza.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