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 행정부가 미국 퇴직연금 401(k)에 암호화폐를 추가하지 않도록 권고한 조 바이든 행정부지침을 철회했습니다. 즉, 401(k)가 합법적으로 암호화폐를 투자 자산으로 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번 지침이 암호화폐 시장에 어떤 영향을 불러올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401(k)란?
미국 근로자가 노후를 대비해 급여 일부를 적립하는 퇴직연금제도입니다. 가입자가 급여의 일정금액을 적립하면 직장에서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해 주는 은퇴 플랜입니다. 세제 혜택도 제공됩니다. 401(k) 가입자는 적립된 돈을 주식, 채권, 펀드 등에 투자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확정 기여형(DC) 퇴직연금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401(k) 가입자는 미국 근로자의 약 42%에 달하는 7천만 명인데 8조 9천억 달러(약 1경 2천조 원)가 적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퇴직연금입니다.
< 왜 이름이 401(k)일까? >
미국 내국세입법 401조 K항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023년 말 기준 한국 퇴직연금의 총적립금은 382.4조 원으로 401(k)의 30분의 1 수준입니다.
2. 401(k)의 비트코인 투자, 어떤 의미가 있을까?
1) 비트코인의 제도권 진입을 의미합니다.
401(k)은 미국 근로자가 은퇴 후를 대비해 장기적으로 자산을 쌓는 안전한 제도입니다. 이런 제도에서 비트코인을 공식 투자 자산으로 허용한다는 것은 비트코인을 투기 아닌 자산으로 인정한다는 뜻과 같습니다. 제도권이 비트코인을 신뢰한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2) 기관 자금의 유입문이 됩니다.
미국 가계 금융자산의 1/3 이상은 퇴직 계좌에 모여있습니다. 그중 401(k)이 약 20%를 차지합니다. 여기서 비트코인을 선택할 수 있게 되면, 기관 장기 자금이 본격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될 것입니다. 이는 비트코인의 안정성ㆍ유동성ㆍ신뢰도를 끌어올리는 촉매가 됩니다.
3) 장기 투자 자산으로서 신뢰를 받습니다.
401(k)은 10년, 20년을 내다보는 장기 자산인데 이런 제도에 편입되면 비트코인은 단기 급등락이 줄어들고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보수적인 투자자를 유인합니다.
기존에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기 꺼리던 사람도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직장인이라면 회사에서 제공하는 퇴직연금 옵션으로 더 쉽고 안전하게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으니 이는 암호화폐 대중화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3. 장기적인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이번 지침이 길게 보았을 때 비트코인에 큰 호재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지침이 하나 달라졌다고 당장 401(k)의 막대한 투자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때문에 401(k)의 막대한 투자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때문에 401(k)과 같은 은퇴자산에 암호화폐가 편입될 땐 투자 비중을 보수적으로 조정하고, 해당 상품의 구조ㆍ보안ㆍ규제를 꼼꼼히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암호화폐 - 안정적 수익만들기
혹시 정액적립식 투자라고 들어보셨나요? 주식 투자에 많이 쓰이는 방법인데, 요즘엔 암호화폐에 투자할 때도 이 방법을 많이 활용한다고 합니다.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money-ssalon.com
MMF, CMA, 파킹통장 - 다른점은 무엇일까?
금융시장이 불확실할 때 투자자는 돈을 주차하듯 잠시 묶어두려 합니다. 그래서 파킹(Parking)이라 부릅니다. 대표적인 방법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MMF, CMA, 그리고 은행권의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