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글을 읽고 계시는 여러분들은 카페를 자주 찾으십니까? 특히 직장인들은 일을 하나 피곤해서 한잔, 점심식사 후 입가심으로 한잔, 그리고 추워지고 있는 지금 또 한잔. 많이 드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잠깐 상식으로는 전 세계에서 카페가 많은 나라 중 하나라고도합니다. 언제부터 이렇게 카페에 자주 가게 되었을지, 얼마나 많이 마시는지 요즘 사람들의 카페 문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뉴욕보다 서울에 카페가 10배 더 많다?
한국인의 카페 사랑은 전 세계적으로도 유별납니다. 서울시 상권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의 카페는 2022년 기준 2만 5,000개 이상이었는데, 지금은 3만 개가 훌쩍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과 인구가 비슷한 미국 뉴욕에는 약 3,000개의 카페가 있다고 추정됩니다. 뉴욕 면적이 서울의 2배인데, 카페는 서울에 10배가량 많은 것입니다.
< 한국의 카페 개수 >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국의 커피전문점은 10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을 이어 커피 전문점 업종 규모로 전 세계 3위라고 합니다.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367잔으로, 프랑스를 이어 전 세계 2위입니다. 지난해 우라 나라가 수입한 커피는 1조 5,000억 원으로, 10년 전과 비교하면 2.7배 늘었습니다.
2. 둘둘셋에서 밥보다 비싼 커피가 되기까지
카페가 처음부터 우리에게 이렇게 친숙한 공간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커피 시장의 95%는 인스턴트커피가 차지하고 있었는데 그때는 아메리카노보다 커피 둘 프림 둘 설탕 셋의 비율로 맞춰 타 마시는 커피가 더 익숙했습니다.
< 그 시절 커피 삼총사 >
우리가 아는 커피숍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대입니다.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널찍하고 밝은 분위기의 커피숍이 생기며 당시 신세대 사이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본격적으로 프랜차이즈 카페의 시대를 연 건 스타벅스입니다. 1999년 서울 이화여대 앞에 첫 매장을 열었는데, 미국에서 잘 나가는 브랜드가 우리나라에 상륙했다는 점에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습니다.
자장면 가격이 2,000원이던 시절, 스타벅스의 아메리카노 톨 사이즈 가격이 3,000원이었는데 밥보다 비싼 커피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이후 2000년대 초반 네스카페, 커피빈, 파스쿠찌, 카페베네 등 우리에게도 익숙한 브랜드가 속속 등장합니다. 2010년대에는 빽다방,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등 한 잔에 2,000원 미만의 저렴한 테이크아웃 전문점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3. 데이터에서 보는 카페 트렌드
카페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한때 사치품이었던 커피는 생활필수품이 되었습니다. 데이터를 살펴봐도 매년 카페에서 결제한 금액과 건수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1) 매년 수영장 23개만큼의 커피를 마십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카카오페이로 결제한 커피를 합치면 레인 8개짜리 수영장을 23번 채울 정도입니다.
< 1년 마시는 커피의 양 >
2) 저가커피의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최근 3년 동안 카카오페이로 결제한 브랜드 별 사용자 순위를 살펴보면 2021년에는 하위권에 머물렀던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의 결제 순위가 지난해 기준 1위와 3위로 올라왔습니다. 저가커피는 비교적 결제 금액이 적지만, 더 자주 방문한다는 것도 특징입니다. 2023년 사용자들의 결제건수와 금액을 살펴보면,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의 결제금액은 투썸플레이스의 절반 수준이었지만 결제건수는 1.5배 이상 많았습니다.
3) 건당 구매 단가는 낮아지고 있습니다.
카페에서 결제한 전체 금액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한 번 결제할 때 쓰는 금액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습니다. 카페업종의 평균 건당 구매 단가는 2018년 7,700원에서 2024년 상반기 5,500원으로 낮아졌습니다.
< 카페업종 평균 구매단가 >
자가 커피전문점이 늘어나면서 커피 한 잔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아졌고, 카페에서 가볍게 테이크아웃을 하거나 혼자 시간을 보내는 등의 1인 결제도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 커피 178만 원어치 주문하신 분? >
2023년 한 해 동안 가장 큰 금액을 결제한 분은 오전 8시 회사 내 스타벅스 매장에서 178만 원을 썼습니다. 아마도 직원들에게 크게 한 턱 쏘신 것 같습니다.
< 반년 동안 300번 결제한 분도 있습니다. >
2024년 상반기 카페 최다 결제건수는 311건입니다. 하루에 2번씩 커피를 구매합니다.
< 자산가는 비싼 커피만 마실까? >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인 분들은 어떤 카페를 좋아하는지 살펴봤는데 이분들도 메가커피와 스타벅스에서 가장 자주 결제했습니다. 자산가와 우리 사이의 공통점을 하나 찾았습니다.
4. 평일엔 가성비, 주말엔 분위기를 챙깁니다.
카페 브랜드와 가격대가 다양해지면서 우리의 선택지도 넓어졌습니다. 각 커피 브랜드의 요일별 결제 비중을 살펴보면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는 평일, 투썸플레이스와 스타벅스는 주말의 방문 비중이 높았습니다. 평일 출근길에는 가성비 커피를 테이크아웃하고, 주말에 친구룰 만나거나 여가 시간을 보낼 때는 자리가 넓고 디저트의 종류도 다양한 카페를 찾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가격의 범위도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 가격이 대부분 3천~4천 원 대로 비슷하다면, 최근에는 한 잔에 천 원짜리 저가커피부터 만 원이 넘는 스페셜티 커피를 한 동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난 8월에는 커피계의 에르메스라고 불리는 바샤커피가 한국에도 문을 열었는데 싱글오리진 커피 가격이 1만 6,000원, 비싼 제품은 한 잔에 30만 원에 달합니다.
5. 사람들은 이 시간에 카페를 가장 많이 찾습니다.
사람들은 언제 카페를 찾을까? 연령별로 방문하는 시간을 살펴보았습니다.
1) 점심시간에 가장 인기가 많습니다.
20대부터 70대까지, 거의 모든 연령대에서 12시와 오후 1시 전후에 커피를 가장 많이 구매했습니다.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시간은 1시에 2시로, 역시 점심 직후 시간대였습니다.
< 연령대별 카페에 많이 가는 시간 >
2) 10대는 학교 끝나고 카페에 갑니다.
유일한 예외는 10대였습니다. 점심에는 카페에 거의 가지 않았고, 학교가 끝날 시간인 오후 4시와 5시에 가장 많이 결제했습니다. 10대들은 특히 메가커피와 컴포즈커피를 선호했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학원 가기 전 메가커피에서 딸기라테를 먹고, 스타벅스에서 숙제를 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카페를 이용하는 10대들의 수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카페에서 결제한 10대 사용자는 2020년에 비해 2023년 6배 증가했고, 전체 사용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4%에서 9.6%로 높아졌습니다.
3) 30대 이상은 아침이 피곤합니다.
30대에 들어서면 아침부터 커피의 힘을 빌리는 분들이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20대 사용자 중 카페에서 오전 시간대(아침 7시~11시)에 결제한 비중은 22%인데, 30대는 32%로 껑충 뛰었고 40대, 50대 역시 34% 수준으로, 오전 시간대의 피로를 커피로 이겨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6. 이제는 엄마 아빠도 카페를 좋아합니다.
예전에는 부모님 세대의 분들이 카페에 자주 가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비싼 것을 어떻게 먹냐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카페에서 마시는 커피가 사치품처럼 여겨졌던 것입니다.
< 카페에서 결제한 50대 이상 사용자의 비율 >
그런데 요즘은 엄마아빠 세대나 어르신들도 카페에 자주, 많이 방문합니다. 문턱이 그만큼 낮아졌고, 우리 생활에 익숙해졌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카페에서 결제한 50대 이상 사용자는 2018년에 비해 2023년 7배 증가했는데 전체 사용자 중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6%에서 3.5%로 두 배 넘게 상승했습니다. 초창기에는 20대, 30대 만의 전유물이었던 카페는 시대를 거치며 여러 새대에게 사랑받는 공간으로 변해왔습니다. 단순히 커피라는 기호식품을 파는 공간을 넘어,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나의 취향을 찾아가는 문화의 영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매일의 일상을 함께 하기도 하고, 여유로운 주말을 보내기도 하는 카페.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궁금증이 조금 풀리셨으면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커피믹스, 해외판매 안되는 이유
커피. 다들 좋아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커피 하면 유럽이라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유럽여행에서 마신 본고장 커피보다 한국커피가 더 입에 맞다는 결론입니다. 특히 믹스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