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많은 종류의 것을 투자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중에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분들은 들어보셨을까요? 요즘 암호화폐에서 유행하는 용어가 하나 있다고 합니다. 바로, 호들(HODL)이라는 용어입니다. 호들은 문장의 약자인데 풀어보면 Hold On for Dear Life(내 인생을 걸고 버티는 것)의 약자라고 합니다. 시장이 급락할 때도 암호화폐를 팔지 않는 것을 뜻인데, 어떤 내용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암호화폐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뱅크 >
< 출처 : 카카오뱅크 >

 

 

1. 실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013년, 비트코인 시세는 아주 큰 변동성을 보이는데 하루에 39%나 급락하자, 좌절한 한 투자자가 커뮤니티에 하소연을 하며 술에 취해 I AM HOLDING이라는 제목의 글을 쓴 것인데 HOLDING을 HODLING으로 잘 못쓴 이 글이 몇 시간 만에 빠르게 퍼졌고, 곧 투자자 사이에서 밈이 되어 단순한 실수가 암호화폐의 큰 변동성을 버티다 보면 결국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믿음을 나타내는 신조어가 탄생한 것입니다.

 

< 출처 :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375643.0 >

 

 

2. 대표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암호화폐는 다른 자산에 비해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오늘의 고점이 내일의 저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투자자가 공황 매도(Panic selling)를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변동성을 견디고 투자하는 것이 바로 호들링(Hodling)인데 암호화폐를 사서 자신의 개인 지갑에 보관한 후 최소 몇 년 간 잊어버리고 사는 투자법이었습니다. 갑작스러운 가격 변화에 성급한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긴 시간 투자할 것을 각오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암호화폐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에 대한 신념을 갖는 것이기도 합니다.

 

 

3. 신념도 좋지만, 유연함도 필요합니다.

암호화폐의 장기적인 성장을 믿고, 결국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본다면 호들링은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나스닥에 상장된 빅테크 기업의 미래가치를 보고 장기 투자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아직 암호화폐는 다른 투자자산에 비해 역사가 짧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통적인 투자기법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인데, 정부나 국제기구가 암호화폐 규제 방식을 변경한다면 암호화폐 가격은 순식간에 뒤바뀔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암호화폐의 가격을 흔들 요소는 많습니다. 때문에 보다 유연한 전략을 가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 다이아몬드 vs 종이 손 >

HODL 말고도 투자자의 유형을 묘사하는 표현이 몇 가지 있습니다. 시장이 아무리 나빠도 끝까지 자산을 보유하는 사람을 다이아몬드 손이라고 하고 반대로 첫 번째 위기가 닥치자마자 팔아버리는 사람을 종이손이라고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요즘 핫한 도지코인, 왜?

비트코인보다 더 주목받은 암호화폐가 있는데 그것은 도지코인입니다. 연일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액 1위에 머물 정도로 관심이 뜨겁습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oney-ssalon.com

 

비트코인이 추락한 원인, 마운트곡스란?

재테크를 생각하면 요즘은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말합니다. 그중에 비트코인은 한때 가격이 8,000만 원 밑까지 추락했는데 시세 하락 요인은 다양하지만 마운트곡스 사건 피해자 보상이 주원인으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