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달러/원 환율이 심상치 않습니다. 왜인지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작년 12월 마지막 주 주간 거래 종가는 1,464.8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 이후 최고가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참으로 힘든 나날들입니다. 이후 어떤 상황들이 생기고 어떤 어려움들이 생기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환율이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내년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혔는데 내년 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4번에서 2번으로 줄일 수 있다고 한 것인데 이후 강달러 기조는 더 거세졌습니다. 여기에 국내 정치 불안도 한몫했습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3주간 달러/원 환율이 50원 이상 올랐는데 이후에도 나아지지 않는 정국에 불안이 더 커졌고, 환율도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2. 기업들은 비상입니다.
원자재를 수입하는 산업은 당장 어려움에 닥쳤습니다. 특히 달러 거래가 대부분인
① 패션 업계는 훌쩍 오른 원자재 가격에 비상입니다. 거위털과 오리털 가격만 해도 지난 6개월간 각각 30%, 20% 이상 올랐습니다.
② 식품 업계도 같은 상황입니다. 수입 원료 사용 비중이 약 33%인 가정간편식(HMR)은 고환율에 특히 취약한데 편의점은 해외 직매입 제품 유통을 중단했고, 대형마트도 냉동육, 과일 등 해외 식품 수입을 축소했습니다. 반등 분위기였던
③ 여행 업계도 다시 위축되었습니다. 환율과 함께 항공료, 숙박비, 현지 지출 비용이 동반 상승하면서 여행객의 발길이 줄어든 것입니다. 항공유, 비행기 리스, 영공 통과 비용을 모두 달러로 결제하는 항공사 역시 고환율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해외에서 중간재를 수입하는
④ 중소 제조업체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원가 부담은 늘지만 납품가는 높이지 못해 손해를 보는 상황이었던 것이며 중소벤처 기업연구원에 따르면 환율이 1% 오를 때마다 중소기업 손해는 약 0.36%씩 늘어난다고 합니다.
3. 수출주는 강세입니다.
모든 산업이 피해를 본 것은 아닙니다. 고환율 수혜 종목인 수출주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로 대금을 받는 수출 기업은 달러/원 환율이 높아질수록 가격 경쟁력도 높아집니다. 초고압 변압기를 수출하는 H사나, 라면을 수출하는 S사 등의 주가가 강세를 보입니다. 다만, 트럼프의 미 대통령 취임은 변수입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면 수출이 둔화될 거란 우려가 있습니다. 관세 장벽이 높아지면 수출주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달러/원 환율이 연일 치솟습니다.
② 원자재, 중간재를 수입하는 기업은 비상입니다.
③ 고환율로 수출 증대가 기대되는 수출주는 강세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킹메이커 머스크, 트럼프 수혜는?
현재 테슬라의 주가가 연일 상승의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시가총액도 2년 6개월 만에 1조 311억 달러(약 1,397조 5,000억 원)를 돌파했다고 합니다. (2024년 11월 8일 현지시각 기준) 어떤 내용인
money-ssalon.com
국회 통과 세법개정안 - 뭐뭐가 있을까?
2025년을 앞두고 국회에서 세법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어떤 것들이 어떻게 바뀌었고 나한테 해당되는 내용들은 무엇이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세금, 이렇게 결론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