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른 투자 대비 단기간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공모주 청약 투자입니다. 물론 무조건 이익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닌데 아는 만큼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 전, 이것만은 반드시 꼭 확인해야 합니다.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성공적인 공모주 투자를 위한 4가지
1)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공모주의 성패를 가리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청약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그 기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일반인이 모든 비상장기업의 정보를 알긴 힘들기 때문에 기관의 판단을 참고하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이 높은 공모주를 눈여겨봅니다.
2) 공모가 밴드와 공모가
공모가 밴드는 공모를 진행하는 대표 주간사가 정해놓은 공모가 가격 구간입니다. 대표 주간사는 상장 예정 기업과 비슷한 산업군의 다른 기업을 비교해서 공모가 밴드를 정합니다. 이후 기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공모가가 결정됩니다.
① 많은 기관투자자가 높은 공모가를 예측했다면?
공모가 밴드 최상단으로 공모가가 확정됩니다. 간혹 큰 기대를 받는 종목은 공모가 밴드를 초과해서 공모가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② 많은 기관투자자가 낮은 공모가를 예측했다면?
공모가 밴드 최하단으로 공모가가 확정됩니다. 기관투자자에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의무보유 확약비율
정해진 기간 안에 해당 주식을 팔지 않겠다고 약속한 기관투자자 비율입니다. 의무보유 확약비율이 높을수록 기관투자자가 상장 직후 바로 팔 수 있는 주식 수가 적습니다. 즉, 기관투자자가 이 주식을 장기적으로 전망이 좋을 것이라 판단한 것입니다. 의무보유 확약비율이 높을수록 상장한 날 주가가 급격히 오르거나 떨어질 확률이 적습니다. 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회사 개요, 재무제표 확인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이 어떤 곳인지 알아야 합니다. 전자공시시스템(DART) 홈페이지의 공모정보 → 발행공시 검색으로 들어가서 해당 기업을 검색해 증권신고서를 살펴봐야 합니다. 기업의 기본 정보부터 사업 내용, 재무제표 분석, 매출은 어떻게 내고 있는지, 성장성은 어느 정도인지 등 투자에 참고할 만한 유용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수익률 최대 300%까지 노릴 수 있습니다.
대형 공모주는 많은 투자자의 큰 관심을 받습니다. 그만큼 공모주 청약 시장엔 뭉칫돈이 몰리는데 종종 이렇게 모인 큰돈이 상장 첫날 어마어마한 수익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상장 당일에는 공모가의 60%~400% 범위 내에서 가격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모가가 1만 원인 종목이라면 성장 첫날 주가가 최대 4만 원까지 오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상장일의 가격 제한 폭이 확대되면서 따따블 수익(300%)을 내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물론 가격 폭이 넓어진 만큼 변동성이 커진다는 것도 명심해야 합니다.
3. 공모주를 받으려면 증거금은 얼마나 필요할까?
대부분의 공모주는 청약 물량의 절반을 균등 배정, 나머지는 배례 배정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총 100만 주의 공모 청약을 진행하는 기업이라면, 그중 50만 주를 청약자에게 균등히 배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남은 나머지 50만 주는 청약자가 얼마나 신청했느냐에 따라 비례해 배정합니다.
< 균등 배정 >
균등 배정된 수량을 청약에 참여한 총인원에 따라 1/N로 배정합니다. 최소 증거금만 넣으면 참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청약자가 균등 배정 수량보다 많으면 추첨에 따라 1주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비례 배정 >
최소 증거금 이상 넣으면 균등 배정과 함께 비례 배정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균등 배정하고 남은 수량을 청약 신청 수량에 비례하여 배정합니다. 증거금을 많이 넣을수록 공모주를 많이 받는 방식입니다.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의 비율은 공모 조건이나 주간사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소 증거금 또한 공모 기업마다 다르니 미리 파악하고 지금을 준비해 두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청약통장에 15만 원 더 넣기
청약제도가 41년 만에 달라진다고 합니다. 목돈이 크게 없는 서민들에게 청약제도는 꿈의 제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매달 고정금액을 적금 넣듯이 꾸준히 넣으면 단기간에 내 집
money-ssalon.com
노는돈, 여윳돈 - 짧게 투자하고 싶다!
나라도 어지럽고 물가도 오르고 금리도 하늘을 찌르는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요즘, 그래도 살아야 한다는 이유로 투자를 많이 생각합니다. 그중에도 단기 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