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느 날 TV를 보는 최민식 배우님이 나오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찰나의 최민식 배우님의 멘트는 극장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좀 내려주세요. 나라도 안 가요.라는 멘트였는데 영화배우의 그 한마디에 이 글을 쓰는 저도 공감했습니다. 비싸도 너무 비싸기 때문에 극장가기가 어렵습니다. 이 말로 영화관람료 논쟁에 불이 붙었는데 어떠한 결과가 나오게 될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로나 이후 확 오른 영화관람료
국내 주요 멀티플렉스의 티켓값은 평일 14,000원, 주말 16,000원 ~ 20,000원 수준.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약 3,000원 ~ 4,000원 올랐습니다. 국내 멀티플렉스 3사(CGVㆍ롯데시네마ㆍ메가박스)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주말 티켓값을 3차례 인상했는데 상승률은 무려 40%에 달했습니다.
< 다른 나라보다도 비싼 편 >
우리나라 영화관람료는 96개국 중 27위지만, 1인당 명목 GDP 대비 티켓값 비중(0.033%)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았습니다. 미국(0.016%)의 2배 수준인데 다가, 영화관람료가 가장 비싼 스위스(0.002%)보다도 높습니다.
비싼 티켓값에 사람들은 영화관 찾기를 주저합니다. 코로나19 유행 때부터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OTT 열풍이 분 것도 한몫했는데 영화 한 편 가격이 OTT 한 달 구독권 가격과 비슷합니다. 한 언론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영화관람료가 비싸냐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79%, 영화관람료가 내리면 극장에 갈 의향이 있냐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76.2%에 달했습니다.
2. 왜 이렇게 비싸졌나?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영화관 업계는 티켓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입니다. 관람객 감소, 영업시간제한 등으로 쌓인 적자를 감당하기 힘들다느 것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물가 상승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임대료, 인건비, 공과금, 관리비 등이 일제히 오르면서 영화관람료도 오를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오른 티켓값이 그대로 영화관의 수익으로 이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통상 영화관은 영화관람료에서 영화발전기금(3%), 부가세, 결제수수료 등을 제외한 뒤, 남은 금액을 다시 배급사와 약 5 : 5로 나눠가집니다. 따라서 요금 인상의 효과를 충분히 내려면 큰 폭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겁니다.
3. 가격 내려갈 수 있을까?
최근 영화관 업계는 회복세에 접어들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극장가 총매출액은 6,103억 원으로 팬데믹 이전의 73% 수준을 회복했는데 파묘, 범죄도시 4, 인사이드아웃 2 등 국내외 영화가 흥행하면서 관람객 수도 팬데믹 이전의 62%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 영화관 업계의 실적은? >
① CJ CGV는 올해 상반기 8,229억 원의 매출과 36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
② 롯데시네마 운영사인 롯데컬처월스는 73억 원의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
③ 메가박스도 상반기 영업적자가 1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억 원 하락.
게다가 정부는 내년부터 티켓 가격의 3%(약 500원) 수준인 영화 상영관 입장권 부담금을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이런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영화관 업계가 티켓 가격을 내릴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물론, 아직 팬데믹 이전 수준의 실적을 회복하지 못한 만큼, 가격 인하는 쉽지 않다는 예측이 지배적입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코로나 이후로 영화관람료가 확 뛰었습니다.
② 업계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입니다.
③ 티켓 가격 인하는 당분간 힘들어 보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유튜브가 한국에서 쇼핑 기능을 출시
이제는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사는 일은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 언제부터 이커머스가 일상이 되었는지 모를 정도입니다. 쇼핑몰이 아닌 이제는 유튜브에서도 쇼핑을 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
money-ssalon.com
불법으로 영화다운 - 경찰서 출석 통지
아직까지도 불법다운로드가 성행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한 매체에서 불법다운로드를 해서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건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 모두 불법다운로드는 하지 말아야
hazzza.money-ssalon.com
희귀동전, 절대 쓰지 마시길..
희귀 동전은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동전 중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동전을 봤다면 발행 연도를 확인해봐야 합니다. 특정 연도에 발행된 동전은 경우에 따라 몇천 원에서 몇만 원, 또는 몇백만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