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 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미국과 무역을 합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이번 대선을 이긴 도널드트럼프가 승리하면서 많은 나라들이 긴장했는데 그 이유가 슬슬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 1위 강대국인 미국이 미국과 무역을 하는 나라들을 상대로 관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에서 노 아메리카노를 외친다고 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청책에 항의하며 미국산 상품을 불매하는 것입니다. 미국과 국경을 맞댄 나라부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유럽까지 불매를 시작했다고 하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캐나다가 선봉에 섰습니다.
불매 운동에 가장 적극적인 것은 캐나다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의 51번째 주라는 모욕적인 발언을 여러 차례 들었기 때문입니다. '바이 미국, 바이 캐나다'(Bye America, Buy Canada : 미국산은 불매하고, 캐나다산을 구매하자)라는 구호가 등장하는 한편 일부 카페에서는 메뉴판에 아메리카노를 캐나디아노(Canadiano)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는 모든 매장에서 미국산 주류가 철거되는 등 반미 정서가 매우 거세다고 합니다. 소비재뿐 아니라 미국 여행 취소, 미국 기업 구독 서비스 해지 등으로 불매운동이 번지고 있습니다. 작년에 미국을 방문한 캐나다인은 2천만 명, 이들이 쓴 돈만 30조 원에 달하는데 이 또한 불매 운동 여파로 급감할 전망입니다. SNS에서는 넷플릭스나 트럼프에게 후원금을 낸 스포티파이의 구독을 해지했다는 인증도 속속 올라옵니다.
2. 중남미와 유럽도 가세했습니다.
미국이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중남미에서도 미국산 불매 운동이 확산될 낌새가 보입니다. 직접적인 관세 부과 대상은 멕시코지만, 중남미 경제 전체가 영향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예고한 유럽도 상황은 다르지 않습니다. 덴마크와 스웨덴에서는 SNS에서 미국산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유럽산 상품 목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일부 마트에서는 유럽산 제품에 검은색별 표시를 붙여, 소비자가 미국산 대신 유럽산 제품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당장 불매 운동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은 테슬라입니다.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에 대한 반감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1월 테슬라 전기차의 유럽 내 판매량은 9,945대로, 전년 동기 대비 45% 급감했습니다.
3. 미국이 역풍을 맞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결국 미국을 위협하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관세 부과가 물가 상승과 내수 침체, 제조업 불황과 금융 불안정을 가져올 것이란 지적인데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 기업은 투자를 주저하고, 소비도 위축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경제가 역성장할 수도 있습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이 미국의 1분기 성장률을 -2.4%로 전망했습니다. 게다가 물가가 상승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주저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경제에 부담이 될 것입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미국의 관세 정책이 불매 운동을 촉발시켰습니다.
② 캐나다와 중남미, 유럽 등이 중심입니다.
③ 미국이 역풍을 맞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삼성전자가 로봇회사를 샀다?
대한민국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가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가 되었다고 합니다. 2,674억 원 규모의 콜옵션을 행사해 총 35%의 지분을 확보했다는 이슈를 들었습니다. 이틀간
hazzza.money-ssalon.com
대출 있는 집 - 전세로 괜찮을까?
전세사기도 무섭고 월세도 무서운 요즘입니다. 그렇지만 살 집은 필요하니 전세를 구하고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집을 찾았는데 등기부등본을 보니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집주인이 대출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