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이더리움을 모으는 기업이 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을 100개 이상 모은 기업은 약 71곳입니다. (2025.08.25 기준) 한 달 전만 해도 11곳뿐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매우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모두 제2의 스트레티지가 되길 꿈꾸는데 그런데 왜 비트코인이 아닌 이더리움을 모으는 것일까?
< 스트레티지는 어떤 회사일까? >
전 세계에서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가진 기업입니다. 비트코인 전체 공급량의 약 3%(629,376개)를 보유하며, 52.8%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2025.08.25 기준) 원래는 소프트웨어 기업이지만, 비트코인 투자 기업으로 바뀌었습니다.
1. 비트코인보다 저렴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가격입니다. 비트코인 1개 가격은 1억 5,530만 원(2025.08.25. 기준), 이더리움의 20배가 넘는데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시장이 됐습니다. 따라서 비트코인보다 싸고 ETF 같은 제도권에 속해 어느 정도 안정성을 갖춘 이더리움을 떠올린 것입니다.
2. 저평가됐습니다.
최근 이더리움 가격이 가파르게 올랐지만, 2021년의 최고점을 겨우 넘겼을 뿐입니다. 게다가 비트코인보다 상승률도 기대에 못 미칩니다. 이더리움은 암호화폐 시가총액 2위고, 한때 시장 점유율 30%(2017년 기준)에 달할 정도로 영향력이 큰 암호화폐입니다. 이런 이더리움의 명성을 생각하면 아직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3. 추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에 투자하면 시세차익만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에 투자하면 스테이킹(Staking)이 가능합니다. 이더리움을 예치하고 연평균 3%의 이자를 이더리움으로 받는 것입니다. 이더리움 10만 개를 가진 기업이라면 연간 추가수익 약 190억 원을 올릴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스테이킹하면 복리 효과까지 생깁니다. 게다가 기업은 이더리움을 금융 자산처럼 운영해서 수익을 내기도 하는데 DeFi 기반 대출 등으로 더 큰 수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 DeFi(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 >
은행이나 증권사 같은 중개 기관 없이 스마트 계약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를 뜻합니다. 예금, 대출, 자산 거래, 파생상품 등 기존 금융과 유사한 서비스를 누구나 투명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최근 불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 열풍도 이더리움의 인기에 한몫했습니다. 현재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 절반이 이더리움 기반 네트워크에서 거래되기 때문에 이더리움의 몸값도 치솟을 것이란 관측이 많은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세계 최대 연금제도 - 비트코인을 산다?
미국 행정부가 미국 퇴직연금 401(k)에 암호화폐를 추가하지 않도록 권고한 조 바이든 행정부지침을 철회했습니다. 즉, 401(k)가 합법적으로 암호화폐를 투자 자산으로 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
money-ssalon.com
2025년 9월 공모주 청약일정 모아보기
IPO 제도가 개편된 지 한 달이 지났습니다. 공무주 의무 보유기간이 늘고, 수요예측 참여자격이 강화되는 등 규제 수위가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기업이 늘었는데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