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달 버는 소득에서 이자나 생활비 같은 고정비용을 빼고 남는 돈을 여윳돈이라고 부릅니다. 이 돈으로 누군가는 물건을 살 수도 있고, 누군가는 저축이나 투자를 할 수도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이런 여유 자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재테크를 하는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여유자금은 크게 증가했는데 경기가 좋아져서라기보다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소비를 줄였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어떻게 이용하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윳돈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Q. 한 달 30만 원의 여윳돈이 남는다면

① 소비에 쓴다.      ② 계좌에 모은다.

 



1. 어떻게 사용할까?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칩니다. 지난해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2만 8,000호로, 전년보다 9,000호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늘어난 여유자금은 어디로 갔을까? 지난해 가계 자금운용액을 살펴보면 국내외 주식, 펀드, 채권, 보험 연금 등에 투자한 금액이 크게 늘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여유자금을 쓰기보다는 모으는 것이 최근 트렌드인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기존의 집을 사고파는 주택 매매의 경우 자금이 가계에서 가계로 이동하는데 아파트 신규 입주의 경우 가계의 자금이 기업으로 이동해 가계 여윳돈이 줄어듭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사잇돌과 햇살론, 대출받기 쉬어진다!

물가도 금리도 상상 이상이 요즘, 많은 생활비와 사업자금들이 필요합니다. 특히 서민들은 담보를 두고 대출을 신청하는데 너무 힘이 들고 기준이 높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서 사잇돌대출과 햇

hazzza.money-ssalon.com

 

중산층 가정 여윳돈 - 평균 얼마일까?

중산층 가구가 한 달에 저축할 수 있는 돈이 70만 원도 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최근 5년 내 최저치라고 합니다. 이는 소득에 비해 지출이 더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입니다. 작년 4분기 3 분위 가구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