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1월 2일 기준, 원달러 환율이 1,471원을 기록했습니다 2009년 3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 9개월 만의 고환율 장세라 환율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지난 12월 3일 계엄령 사태 이후 원화의 대외 신인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환율이 급등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에 지난 2024년 12월 19일 새벽, 제롬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2025년에 기준금리를 두 번만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장에 또 한 번 충격을 줬습니다.
1. 고환율로 영향으로 먹거리 물가 빨간불
고환율로 인해 물가 관리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2024년 연간 물가상승률은 2.3%로 최근 4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높은 환율이 수입물가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우려되는 항목은 기름값입니다. 24년 12월 넷째 주(22일~26일) 전국 주유소에서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리터당 1662.2원으로 집계되며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을 뿐 아니라 버터, 치즈, 커피와 같은 수입품목의 가격 상승은 국내 가공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사료용 곡물 가격 상승은 한우, 돼지, 닭 같은 육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에 국내 유가상승까지 더해지면, 온실재배 채소류 같은 품목의 가격도 동반 상승할 우려가 있습니다.
2. 고환율 시대 자산관리 - 균형과 다각화
경기 침체와 강달러 기조가 예상되면서, 신한투자증권 투자상품솔루션부 상무는 기고를 통해 내년 자산 관리 전략으로 균형과 다각화를 제시했습니다.
1) 달러 비중 확대
달러 자산은 원화자산의 높은 변동성을 상쇄하고 포트폴리오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2025년에도 미국 경제의 상대적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당분간 달러도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채권 투자 확대
올해 금리 인하 기조가 예상되는 가운데, 채권은 여전히 매력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2025년 금융시장은 불확실성이 가득해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주식과 채권을 균형 있게 섞어 수익형 자산과 안정형 자산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금, 미국리츠 등 대안자산도 고려
마지막으로, 금이나 미국리츠 같은 대안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포함하는 것도 고려해 봅니다. 주식시장과 상관관계가 낮아서 시장 변동성을 대비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고점 뚫은 환율, 어디까지 올라갈까?
모두가 다 아시다시피 12.3 사태 이후 많은 일이 생겼습니다. 제일 큰 문제는 경제문제입니다. 그래서 모든 국민들이 걱정일 것입니다. 금리도 물가도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고 뉴스에서도 나쁜
money-ssalon.com
계엄령 이후 탄핵 - 원 달러 환율 1450원을 뚫을까?
21세기에 일이 터졌습니다. 대한민국에 사는 국민이라면 상상도 해보지 못했던 계엄령이 터졌습니다. 현재는 한숨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지만 대한민국으로써는 많은 손해를 보고 있습니다. 지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