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3월 초, 정부가 청년들을 위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민생토론회에서 새로이 발표했습니다. 이번 정부는 가장 중요한 국가정책의 파트너로 청년층을 뽑으며 각종 지원 대책을 통해 든든한 후원자가 될 것이라고 한 것인데 이 확대 방안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1. 학비와 취업 - 국가장학금 먼저 대학생을 위한 장학금 3종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① 현재 200만 명 중 100만 명이 받는 국가장학금을 150만 명까지 받을 수 있게 대상을 확대합니다. ② 근로장학생도 올해 20만 명까지 늘리고, 근로장학금 지원 단가 역시 교내 9,860원, 교외 1만 2,220원으로 작년보다 각각 240원, 1,070원을 올릴 예정이랍니다. ③ 새롭게 발표된 주거장학금은 기초ㆍ차상..

경기도에 살고 계신 도민들 중에 청년들에게 매년 주는 지원금이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도 모르시는 분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경기도에서 매년 진행하는 청년기본소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 2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정책입니다. 지금 올해의 마지만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1. 청년이면 누구나 100만 원 받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들에게 분기별로 25만 원씩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정책입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은 청년들에게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액 : 분기당 25만 원(최대 4분기 100만 원) 형태 : 시ㆍ군 지역화폐로 지급 사용처..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는 기업, 정부가 함께 청년들에게 목돈을 지원하는 제도인 동시에 청년에게는 사회에서의 첫 경력형성과 생활의 안정을 그리고 기업에게는 우수한 인재 확보와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제도입니다. 시대의 흐름변화에 따라 인식이 바뀌어 많은 것이 예전과는 달라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처음 보시는 분께서는 어떤 제도인지 어떻게 개편되었는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단, 23년 신규 2만 명 도달 시 신규접수가 마감됨에 따라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본인, 기업 그리고 정부가 공동으로 적립해 2년간 근속한 청년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최대 1,200만 원의 만기공제금을 만들어 드립니다. 청년, 기업, 정부의 기분 좋은 삼박자 협력으로 노동의 보람과 저축의 즐거움을 함께 만들어 갔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