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가 가면서 제일 큰 일중 하나는 연말정산입니다. 이 연말정산에서 얼마나 더 많은 공제를 받느냐에 따라 연말이 풍성해질 수도 아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금저축은 세액공제의 꽃이라는 말이 있듯이 연말정산에서는 세액공제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금계좌는 계좌 안에 들어있는 저축액에 따라 세액공제 혜택이 다르지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한 번에 10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알아둬야 합니다. 1. 얼마나 받을 수 있나?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를 충분히 대비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나라에서는 사적연금 가입을 권장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금으로 납입한 금액의 일부를 세금에서 돌려주는 것인데,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면 납입한 금액의 16.5%를, 5,500만 원 ..

이번 연도 연말정산부터 바뀌는 것을 알아보려 합니다. 연말정산은 해마다 세부 제도가 조금씩 변경되어 굉장히 헷갈리는 게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생긴 공제 항목과 흔히 하는 실수는 무엇인지 미리 알아보고 꼼꼼히 챙겨 보시길 바랍니다. 1. 새로운 공제 항목 확인해 봅시다. 2023년 연말정산부터 새롭게 공제받을 수 있거나 공제율이 늘어난 주요 항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영화관람료 2023년 7월 1일 이후에 쓴 영화관람료는 소득공제가 됩니다. 단, 연 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사람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2) 교통비 대중교통 비용의 기존 소득공제율은 40%였는데 2023년부터 80%로 대폭 늘어나고, 공제한도도 커졌습니다.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라면 300만 원에서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