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옛날 할머니시절인 5060 세대에는 모든 현물재산은 금이 많았습니다. 어르신들은 현금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금을 선호했습니다. 이유는 금값의 인상폭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에 와서는 금값이 계속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고치를 찍었다고 하는데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금테크를 하려는 분들도 많습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볼 때도 우리나라가 금값이 특히 비싸다고 하는데 어떤 이유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 왜 또 비싸지는 걸까?
우리나라에서 골드바를 공급하는 한국조폐공사에서 지난 11일, 골드바 판매 중단을 선언했습니다. 금 수요가 급증하면서, 금 원자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요새 1돈(3.75g) 돌반지 가격이 62만 원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작년 말 보다 약 20만 원이 오른 것인데 왜 갑자기 이렇게 오르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트럼프의 관세 전쟁
트럼프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시장 경제가 불안정하다고 느끼자, 투자자들이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을 대체 투자처로 선호하는 경향이 늘어났습니다.
2) 기준금리 인하 전망
미국 연준이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이자가 없는 안전자산, 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습니다.
3) 각국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확대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을 적극적으로 사들이고 있습니다.
세계금위원회는 중앙은행들이 3년 연속으로 총 1,000t 넘는 금을 매입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달러의 의존도를 낮추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2. 우리나라 금값이 특히 비쌉니다.
금 가격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수요에 따라 금값이 변동합니다. 그런데 금에 대한 우리나라 국내 수요가 단기간에 급증하면서 국제 시세보다 더 많이 비싸졌다고 합니다. 이것을 보고 어떤 이들은 김치 프리미엄이 금 시장에서도 등장했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지난 17일 업계에 따르면, 한 때 한국거래소 금시장에서 1g이 16만 8,200원에 거래됐는데, 같은 시각 국제 금 가격은 1g당 13만 5,000원대였다고 합니다.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보다 20% 이상 비싼 가격에 금을 매수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외 금 시세가 20% 이상 벌어진 것 2014년 KRX 금시장 개설 이후 처음이었는데 이렇게 수요가 급증하다 보니 골드바를 구하기 조차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한국조폐공사는 물론, 국내 시중은행에서도 골드바 판매를 중단하고 있습니다.
골드바가 구하기 어려워지자, 실버바도 가격이 치솟고 있습니다. 1kg 실버바는 현재 약 180만 원이라고 하는데, 일부 은행에서는 실버바도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3. 지금이라도 투자해야 할까?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크게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로 나뉩니다.
< 금 투자 방법 >
골드바(현물) | KRX 금시장 | 금 통장(골드뱅킹) | |
직접투자 | 한국조폐공사, 은행, 거래소, 금은방, 편의점 등 | 증권사 | 은행 |
- | 금 거래 전용 계좌 개인형퇴직연금(IRP),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로 투자 불가 |
금 예금통장 원금 손실이 있을 수 있으며, 예금자보호법 적용을 받지 않음 |
|
- 보유세, 상속세 없음 - 부가세(10%)+수수료 |
- 부가세 면제, 양도소득세비과세 - 증권 거래수수료(약 0.3%) - 실물 골드바로 변경 시 부가세(10%)+수수료 |
-매매 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15.4%) -매매수수료(1%) -실물 골드바로 변경 시 부가세(10%)+수수료 |
금 ETF 매수 | 금 펀드 매수 | |
간접투자 | 증권사 | 자산운용사 및 증권사, 은행 등 |
증권 계좌 - 국내 ETF는 연금 계좌로 투자 가능 | 상품별 관련 계좌 | |
해외 ETF - 수익에 따라 양도소득세(22%) 부과 - 증권 거래수수료(약 0.3%) - ETF 운용 수수료 국내 ETF - 연금 계좌로 투자 시 비과세 혜택 -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15.4%) - 증권 거래수수료(약 0.3%) - ETF 운용 수수료 |
- 높은 펀드 운용 수수료 -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15.4%) |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 만큼, 어떤 장단점이 있고, 나에게 맞는 투자 방법은 무엇인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여전히 금ㆍ은이 장기ㆍ분산 투자 대상으로서 이점이 있지만, 이미 단기간 큰 폭으로 오른 만큼 지금부터 단기 차익을 노리고 맹목적 추종 매수는 위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금ㆍ은에 투자하는 비중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5%~10%가 적당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2025년 국민연금보험료 최대 1.8만원 인상?
대한민국이 점점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해진다는 뉴스를 들었습니다. 일을 할 수 있는 청년이 점점 줄어든다는 결과입니다. 그렇다면 나이가 점점 많아지면 나라에서 받을 수 있는 연금을 나
money-ssalon.com
철강업계 비상! - 한국도 예외 없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의 이익이라는 슬로건으로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는데 이 슬로건처럼 다른 타 국가들에게 관세에 대해 칼을 들었습니다. 우방이라고 생각하는 대한민국에도 예외는
money-ssalon.com
커피믹스, 해외판매 안되는 이유
커피. 다들 좋아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커피 하면 유럽이라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유럽여행에서 마신 본고장 커피보다 한국커피가 더 입에 맞다는 결론입니다. 특히 믹스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