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우리 몸에는 다양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특히 혈관은 기온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혈관이 수축해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나이가 많은 노인들은 더욱더 조심해야 합니다. 겨울철 혈압의 위험성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고혈압, 왜 조심해야 할까?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혈관이 노화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성인병입니다. 혈관 노화를 촉진하는 흡연, 과음, 과식, 운동 부족 등 나쁜 생활습관이 있는 사람에서 더 일찍, 그리고 더 심하게 발생합니다.
< 성인 기준 고혈압 단계 (수축기/이완기 혈압, 단위 : mmHg) >
ㆍ정상 : 120 미만/80 미만
ㆍ전 고혈압 : 120~ 139/80~89
ㆍ1단계 고혈압 : 140~159/90~99
ㆍ2단계 고혈압 : 160 이상/100 이상
고혈압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장기인 심장, 뇌, 신장, 눈을 손상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뇌혈관질환은 대부분 고혈압 때문에 발생하고, 심장병의 30%~35%, 신부전의 10%~15%도 고혈압이 원인입니다.
2. 겨울철이 더 위험하다.
기온이 낮아지면 혈관벽이 수축하며 혈압이 올라갑니다.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오르는 것입니다. 건강한 사람도 기온이 1°C 떨어질 때마다 수축기 혈압은 약 1.3mmHg, 이완기 혈압은 약 0.6mmHg 올라갑니다. 그래서 고혈압 환자는 체온 유지에 취약해지는 겨울철에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 실제로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이 발병할 확률은 영하 10도에서 20%, 영하 20도에선 40% 증가합니다. 고혈압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하는 사람들도 12월부터 이듬해 2월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3.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먼저 체온이 잘 유지되도록
① 외출할 대도 따뜻하게 외투, 모자, 장갑, 목도리 등을 챙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 날에는 실외운동보다는
② 실내운동을 선택합니다. 만약 실외운동을 꼭 해야 한다면 이른 아침보다는 기온이 상승한 낮에 혈압 상승을 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흡연, 음주 등
③ 나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었다면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고혈압 환자에게는 술을 끊는 것을 권고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금주는 수축기 혈압 3mmHg~4mmHg, 이완기 혈압 2mmHg 정도 낮추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 발생률을 6%, 뇌졸중 발생률을 15%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4. 경제적인 대비도 필요합니다.
아무리 예방하더라도 겨울철에 심뇌혈관질환 등 고혈압 합병증은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진단비 보장 보험이 있다면 경제적으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심뇌혈관질환이라고 진단받기만 해도 보험금을 받을 수 있어, 국민건강보험이나 실손보험으로 충당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지원받는 셈입니다. 치료, 수술, 입원 여부와 관계없이 진단을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겨울철 심뇌혈관질환이 걱정되는 고혈압 위험군이나 고혈압 환자라면 미리 나에게 맞는 심뇌혈관질환 진단비 보장으로 든든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보험금 청구 - 병원 서류 없이도 가능합니다.
실손보험은 내가 낸 병원비를 돌려받을 수 있지만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실손보험 가입자 중 37.5%가 보험금 청구를 포기한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진료 확인서 등 서류를 챙기고, 보험사에 제
money-ssalon.com
병원비를 나도 모르게 더 내고 있었다?!
항상 건강해서 병원 갈 일이 없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아프면 혼자서 참기보다는 빠르게 병원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증상이라도 병원이 얼마나 크냐, 병원을 언제 방문하느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