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보통주 vs 우선주, 뭘 살까?

머니지 2025. 2. 5. 10:57
반응형

재테크로 주식을 하면 삼성을 많이 생각합니다. 그런데 좀 헷갈리는 것은 삼성전자가 있고 삼성전자우, 이렇게 2가지가 있습니다. 현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같이 종목 이름 뒤에 우가 무슨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바로 우선주의 약자라고 하는데 보통주와 우선주가 어떻게 다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뱅크 >
< 출처 : 카카오뱅크 >

 

 

1. 보통주

보통주와 우선주는 모두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주식의 종류입니다. 보통주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주식입니다. 우자가 붙지 않은 종목은 다 보통주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 중 앞의 것이 보통주입니다.
보통주를 매수한 주주는 주주총회 등에서 갖고 있는 주식수만큼 의결권을 행사합니다. 회사 경영의 중요한 문제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발행, 유통되는 주식 수 역시 우선주 보다 훨씬 많습니다. 보통주는 투자자가 이 회사가 성장해 주가가 오를 것이라 기대할 때 매수합니다.

 

 

2. 우선주

우선주는 배당을 받거나 회사 재산을 분배할 때 우선권을 갖는 주식입니다. 일반적으로 보통주보다 1% 안팎의 배당을 더 받습니다. 기업이 파산해 남은 재산을 배분할 때 역시 보통주 주주보다 먼저 받습니다. 대신 우선주의 주주는 의결권이 없거나 극히 제한적입니다. 종목 이름 뒤에 우가 붙고, 앞뒤로 숫자와 알파벳 B가 붙기도 합니다. 현대차우, 현대차2우B 이렇게 2등, 3등 숫자는 발행 순서를 알파벳 기호는 신형 우선주를 뜻합니다. 우선주는 발행 주식 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총주식의 25% 이내입니다. 유통되는 주식 수가 적어 거래량도 적은 편입니다. 우선주는 배당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권리 행사보다 배당이나 지분에 더 집중하는 주식이기 때문입니다.

 

 
 

< 우선주 괴리율도 알아둡니다. >

대개 보통주의 주가가 우선주보다 높은데 이 차이가 우선주 괴리율입니다. 대개 괴리율이 높으면 해당 우선주의 투자 매력이 높다고 합니다. 우선주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돼 있기 때문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배당투자, 주식만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분들이 재테크를 시작한다고 하면 처음에는 주식으로 시작합니다. 좋은 주식을 매매해 오르는 것을 보고 팔거나 아니면 계속 주시하면서 배당을 받기도 합니다. 그런데 주식시장의 변동이

money-ssalon.com

 

전세 vs 월세, 뭐가 유리할까?

몇 년 전 전세사기로 대한민국이 떠들썩 한 사건이 있었는데 그 전세사기가 그때보다는 적어졌지만 아직도 종종 전세사기를 당했다는 뉴스를 접합니다. 그래서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게 되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