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요즘 우리나라에는 안 좋은 일들이 계속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계엄에 이어 비행기 사고.. 또 다른 비행기 사고가 뉴스를 통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 2가지의 비행기 사고 중 2번째는 보조배터리 때문에 생긴 화재사고라고 해 놀라움을 금치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작은 배터리나 전자기기에 관련한 항공 정책을 손보고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바뀌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조배터리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1. 재산 피해액 1위는 항공기 화재

항공기 화재는 다른 화재 사고에 비해 발생 빈도는 낮지만, 한 번 발생하면 막대한 재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발생한 항공기 화재는 전체 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중(0.0034%)이 극히 낮았지만, 재산 피해 규모는 건당 평균 약 2억 5,764만 원으로 가장 컸습니다.
비행기 자체가 손실되는 것은 물론, 여러 항공편 운항에도 차질이 생기기도 하고, 자칫하면 인명피해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고조사 및 수습 과정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공항 시설이나 주변 지역에도 피해를 주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경제적 손실을 가져옵니다.

 

항공기 가격은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2023년 대한항공 항공기 화재 사건의 경우, 항공기 손실액만 1,500억 원으로 추정되었습니다.

 

2. 보조배터리 규정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있었던 여객기 화재는 아직 조사 중이지만, 원인으로 기내 선반 속 휴대용 보조배터리가 유력하게 지목되었습니다. 그래서 보조배터리 휴대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보조배터리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충격을 가하거나 열을 받으면 폭발할 위험이 있어서 기내에 직접 가지고 타야 한다고만 안내했었는데 이제 보조배터리에 이상 징후가 발생했을 때부터 미리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기내 선반에 올리지 않고 직접 휴대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손보기 시작했습니다. 정부도 이번 사고를 계기로 승객이 보조배터리를 직접 휴대하도록 취급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여행 갈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항공사나 공항의 변경된 안내 내용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① 에어부산은 탑승 수속 과정에서 승객의 휴대 수화물 내에 보조 배터리가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추가했습니다. 이제 보조배터리가 없는 수하물에 따로 스티커를 붙이고 해당 수하물만 기내 선반에 넣을 수 있습니다.
② 대한항공은 보조배터리를 선반에 보관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검토 중입니다. 승무원 교육훈련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③ 티웨이 항공은 탑승객들에게 보조 배터리를 지니고 여객기에 탈 경우 별도 밀봉이 가능한 투명 비닐팩에 담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비닐팩에 보관하면 전류가 흘러 보조 배터리 등에서 합선이 일어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혹시 불이 나도 다른 수화물에 옮겨 붙는 시간을 늦출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해외여행 갈 때 - 이심ㆍ유심이 유리합니다.

IT강국인 우리나라 대한민국. 가끔 해외여행을 하다 보면 갑갑함을 느낍니다. 우리나라처럼 길거리 어디에서나 와이파이가 되는 나라는 드물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해외에서 통신비가 어마무시

money-ssalon.com

 

국민연금의 모든것④ - 국민연금, 몰랐던 사실 10가지

지난 편에 국민연금에 대한 기본 상식과 국민연금공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에 관한 10가지 사실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그럼 같이 한번 알아봅시다. 1. 해외로

money-ssalon.com

 

해외여행 출발 전 꼭 알아야 할 3가지

해외여행이 이젠 러시입니다. 코로나가 끝나고, 여름휴가가 시작되는 요즘 국내여행도 좋지만 그동안 계획만 세웠던 여행을 드디어 맘 편히 갈 수 있는 날이 시작되었습니다. 국내는 편하게 갈

hazzza.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