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작년 말 계엄으로 6개월이 지났는데 이 6개월이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정신없이 지나 벌써 뜨거운 여름이 왔습니다. 작년 말 겨울에 시작해서 벌써 여름이라니. 어느새 2025년 상반기가 지나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통령이 말했던 주식시장의 있었던 주요 경제 이슈 5가지로 좋은 소식인지 어떤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스피 3,100을 넘었다.
올해 상반기엔 국내 증시의 상승세가 가팔랐습니다. 코스피는 상반기에만 30% 가까이 올랐고, 6월에는 3년 9개월 만에 코스피가 3,100선까지 넘어섰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11개월 만에 800선을 넘어서며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반기 국내 상승률 1위는 650% 넘게 급등한 코스닥 상장사 SAMG엔터입니다. 티니핑 시리즈가 매번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고 에스파 등 인기 아이돌과 협업을 발표한 영향도 컸습니다.
코스피 상장을 이끈 것은 방산, 원전, 반도체, 증권, 지주사 관련주였습니다. 중동의 무력 충돌로 방산 수요가 늘고,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로 반도체와 에너지 안보 중요성이 부각됐기 때문인데 여기에 정부의 코스피 5000 공약 기대감이 더해져, 지주사와 증권주까지 동반 상승했습니다. 특히 상반기 코스피 상승률 1위 종목은 K2 전차를 만드는 현대로템으로, 방산 수출 기대감에 주가가 무려 4배 이상 뛰었습니다.
2. 트럼프의 재선 - 다시 시작된 관세 전쟁
올해 초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돌아오면서 전 세계에 관세 폭탄을 투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중국에는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고, 이후 전 세계 161개 국가에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매긴다고 발표했습니다.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에도 각각 25%, 24%의 상호관세가 매겨졌습니다.
< 상호관세 >
상대국이 우리나라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똑같이 되갚아 부과하는 관세입니다. 즉, 무역 상대국이 한국산 제품에 20% 관세를 매기면, 한국도 그 나라 제품에 돌일한 20% 관세를 매기는 방식입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부과 소식에 전 세계 금융시장은 충격에 빠졌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하루아침에 6% 가까이 폭락했고, 미국 국채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간 유예하고, 각국과의 협상에 들어갔습니다. 현재는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일본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상태로, 우리 정부도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3. 글로벌 테크 기업은 AI 전쟁 중
올해 글로벌 테크 기업들은 인공지능(AI)을 두고 불꽃 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챗GPT와 유사한 성능을 가졌지만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을 내놓은 중국의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리기도 했습니다.
딥시크의 등장으로 미국 중심의 AI 시장 판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졌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는 올해 AI 인프라 구축에 각각 100조 원 넘는 돈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4. 금값도 비트코인도 고공행진
올해 상반기에도 금값은 무서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란-이스라엘 충돌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올해 초 온스당 2,600달러 선이던 국제 금선물 가격은 올해 4월 3,500달러 선까지 치솟았습니다. 투자 열풍이 불며 상반기 한국거래소의 금 시장 거래량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 가격은 급등락을 거듭했습니다.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상자산 활성화 정책 기대감에 급등했던 비트코인은 관세 전쟁 우려에 4월 초 7만 4천 달러대까지 급락했습니다. 이후 관세 우려가 완화하면서 비트코인은 순식간에 반등했고 사상 최초로 11만 달러 선을 넘어섰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7월 초 현재도 10만 달러 후반, 한화 1억 5천만 원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5. 한국경제 성장률 0% - 먹구름 드리웠다.
글로벌 경제 기구들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0%대로 낮춰 잡고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성장률 전망치를 2.1% → 1.5% → 1.0%로 줄줄이 낮췄고, 한국은행도 올해 4월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로 하향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1%보다 낮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팬데믹 때 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관세 정책으로 인한 수출 위축, 건설업 및 내수 회복 부진 등이 저성장의 이유로 꼽힙니다. 특히 최근엔 인구 감소와 노동시장의 이중 구조 등으로 잠재 성장률도 크게 낮아지고 있어, 한국 경제의 체질 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6개월 사이에 전 세계와 우리나라에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는데 올해 상반기에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금융 생활에도 틈틈이 아낄 수 있는 돈이 많지만, 정신없이 바쁜 일상 속에서는 놓치기 쉽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코로나19 재확산 - 조심! 다시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없어졌다고 생각합니다만 가끔 뉴스에서 코로나 이슈를 볼 수 있습니다. 감기와 많이 헷갈렸었는데 우리나라도 약간은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근 태국,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전역에서
money-ssalon.com
컴포즈 커피 매입회사 - 노랑통닭도 먹었다!
얼마 전 필리핀의 한 회사가 우리나라의 커피브랜드인 컴포즈커피를 매입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회사가 또 하나의 국내 프랜차이즈인 노랑통닭을 매입했다고 합니다. 필리핀의 K
money-ssalon.com
새로운 정부 - 우리에게 이로운 정책일까?
드디어 대선이 끝났고 새로운 대통령이 우리를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떠한 정책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해 줄지 기대와 동시에 설렘도 있지만 많이 많이 궁금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