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민등록 사실조사. 아십니까? 이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행정안전부가 주소지에 살고 있는지 확인하는 조사입니다. 8월 31일까지 비대면으로 참여할 수 있고, 이때 응답을 안 하면 주민센터에서 집으로 찾아온다고 합니다. 불참하면 과태료까지 낼 수 있다고 하니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주민등록 사실조사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1. 주민등록 사실조사가 뭘까?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행정안전부가 주민등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조사입니다. 주민등록에 나와있는 주소와 실제 거주지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오랫동안 주소가 분명하지 않은 분들이나 학교에 가지 않는 아이들 등 복지의 사각지대를 찾아내는 게 목적입니다. 조사 결과는 복지, 선거, 과세 등 다양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예전에는 일일이 직접 방문해서 조사했는데, 2022년부터 정부24에서 비대면 응답이 가능해졌습니다. 주민등록지에서 GPS를 확인한 후, 세대별로 한 명만 대표로 참여하면 됩니다.

 

 

2. 응답 안 하면 어떻게 될까?

비대면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중점조사 대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주민센터 공무원이 10월까지 집집마다 직접 방문해서 조사를 진행합니다.

 

< 중점조사 대상 >

100세 이상 고령자, 장기 거주 불명자, 복지 취약계층, 사망의심자, 장기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 비대면 조사에 참여했더라도 중점조사 대상이 포함되는 세대라면 방문 조사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만약 정당한 사유 없이 조사를 거부하거나 허위로 자료를 제출할 경우 최대 50만 원의 과태료도 부과될 수 있습니다. 주소지가 바뀌었는데 전입신고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과태료가 나올 수 있는데, 조사 기간에 자진신고하면 80%까지 감면해 준다고 합니다.

 

 

3. 이렇게 참여합니다.


① 정부24 앱을 설치합니다.
② 로그인 후 주민등록 사실조사 참여 배너를 클릭합니다.
③ 내 주민등록 정보를 확인하고 GPS를 켜 주거지를 인증하면 끝납니다.

 

 

 

 

< 정부24 로그인 꿀팁 >

이용자가 많으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카카오 인증서로 로그인하면 빠르고 안전합니다.
로그인 → 간편 인증 → 카카오톡을 누르면 끝!

 

 

GPS를 이용해 주소를 확인하기 때문에 반드시 집에서 참여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상 주소지 50m 이내에서 GPS를 켜야 주민등록 정보가 사실과 같다고 인정됩니다. 조사 마감 직전에는 접속이 몰릴 수 있으니 종료 시간이 되기 전 여유 있게 참여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쉽게 비대면 조사에 참여 기간을 놓쳤다면, 동주민센터나 각 동의 통장 등이 집에 방문을 요청할 수 있으니 잊지 말고 미리 참여하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실전! 전세사기 대응법①

예전보다는 많이 적어졌지만 아직도 전세사기는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전세보증금을 주인으로부터 받지 못한 일도 있고 2중 계약으로 내가 들어갈 집이 없어질 때도 있습니다. 이런 비슷한 문제

money-ssalon.com

 

실전! 전세사기 대응법②

지금도 전세사기로 인해 많은 피해자가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특별법도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정부가 인정한 전세사기 피해자는 2만 명을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