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채권투자① - 원금보장이 될까?

머니지 2024. 11. 23. 09:07
반응형

금융상품 중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품은 채권입니다. 원금을 빌려주고 일정 기간 이후에 돌려받는다는 점에서 정기예금과 유사합니다. 다만 원금이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조금 다릅니다. 투자 위험이 있으니 조건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그럼 어떤 조건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권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1. 첫째, 누가 발행한 채권일까?

채권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종류에 따라 원금 보장 가능성도 다릅니다. 정보에서 발행하는 국채는 안전성이 높은데, 자국의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인만큼, 채무를 갚지 않을 위험이 아주 낮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국채나 지방채가 원금이 보장되는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같은 이유로 국내에서는 국채나 지방채에 신용등급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반면 회사채는 조금 다릅니다. 기업의 상황에 따라 위험 수준이 다릅니다. 기업의 경영이 악화하여 파산하면 원금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채에 투자할 때 해당 기업의 신용도를 잘 따져봐야 합니다.

 

 

2. 둘째, 채권의 등급은?

채권에는 등급이 있습니다. 신용평가 기관이 각 채권의 신용도를 평가해 등급을 매깁니다. 예를 들어 신용등급이 AAA인 채권이 있다면? 원금을 보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AA등급, A등급 순으로 원금 보장 가능성이 줄어들다가 BBB등급부터는 원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등급이 낮아질수록 투자할 때 더 주의해야 합니다.

 

< 신용등급을 어떻게 확인할까? >

상품 상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용평가 기관의 웹사이트나 기업의 정기 공시 자료, 증권사 리포트를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① AAA : 최고 등급, 신용위험 거의 없음
② AA, A : 높음, 어느 정도의 신용위험 있음
③ BBB : 중간 등급, 신용위험 존재
④ BB 이하 : 신용위험 높음, 투기 등급

 

 

3. 셋째, 경제와 업계의 상황은 어떨까?

경제나 업계의 상황이 원금 보장 여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용도가 비교적 높은 채권에 투자해도 경제 위기가 닥치거나 경제 불황이 계속되면 채권을 발행한 기업의 재무 상태가 나빠져 신용등급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질 것입니다. 물론 등급 하향이 곧 채무 불이행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등급이 내려가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지만, 기업이 만기에 채무를 이행하면 가격이 회복됩니다.

 

 

4. 넷째, 특정 조건은 없을까?

어떤 채권은 발행할 때 특별한 조건을 내세웁니다. 상환 순위, 조기 상환 조건 등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은행에서 발행한 증권이지만 일반채권은 AAA, 후순위채는 AA+, 신종자본증권은 AA0과 같이 조건별로 신용등급은 한 단계씩 떨어집니다.

만약 내가 투자하려는 채권에 이런 조건이 있다면 원급 보장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회사에 문제가 생기면 일반채권(선순위채),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순으로 채무를 상환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어떤 상화에서 어떤 조건으로 누가 만든 채권을 사느냐에 따라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기업의 안정성이 과거에 비해 상당이 높아졌습니다. 따라서 시장에 있는 수많은 채권 중에서 채무불이행에 이르는 채권은 아주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공포로 가득 찬 증시, 경기침체가 온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로 금리에 영향을 받는 국가는 단연 미국일 것입니다. 이번 9월에 뉴욕증시가 경기침체로 최악을 보내고 있는데 또다시 2번째 경기침체가 나타나고 있

money-ssalon.com

 

장외채권, 꾸준히 이자를 받고 싶다면?

적금밖에 모르는 저는 주위에서 누군가 채권에 투자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 채권이 어떤 것이며 수익은 큰지 그리고 안전한지 알아봐야 할 것입니다. 이 채권이라 함은 장외채권이라고 하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