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쉽게 생각하면 채권은 은행의 정기예금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그래서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면 수익률이 일정합니다. 그런데 반대로 중간에 매도하면 이득을 보거나 손해를 입을 수 있는데 이를 자본 손익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이 채권을 어떻게 언제 팔아야 손해가 안 될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럴 때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자본 손실
A 채권(만기 3년, 이자율 4%)에 1억 원을 투자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자 수익은 매년 400만 원인데 투자 후 시간이 얼마나 지나지 않았는데 시장금리가 5%로 올랐다면, 이때 A 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될까?
하락합니다. 하루 만에 금리가 변해 채권의 가치가 떨어진 것입니다. 시장에서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이자율이 5%이니 이자율 4%인 A채권의 가치는 떨어집니다. 그래서 A채권이 새로 발행된 채권과 경쟁하려면 가격을 낮춰야 할 것입니다. A채권에 투자하면 매년 이자로 400만 원밖에 받을 수 없는데 다른 채권에 투자하면 500만 원을 받을 수 있으니 말입니다. 다른 채권과 비교했을 때, A채권의 가치가 매년 100만 원씩 총 300만 원만큼 하락한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투자자가 이 시점에 A채권을 팔고 싶다면? 약 300만 원 손해를 보고 9,700만 원가량에 팔아야 거래가 성사됩니다. 즉, 매수 금리보다 매도금리가 높아 자본손실이 발생한 것입니다.
2. 이때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 자본 이익
앞의 예시와 동일하게 A채권(만기 3년, 이자율 4%)에 1억 원을 투자합니다. 그런데 채권을 산 후 오래 지나지 않아 시장금리가 3%로 떨어지면 A채권의 가격은 어떻게 되었을까? 금리가 올랐을 때와 반대 상황입니다.
채권 가격이 오릅니다. 바뀐 시장금리에 따라 새로 발행한 A채권의 이자율은 3%. 내가 가진 채권의 가치가 올라갑니다. 나는 이자율이 4%인 내 채권을 더 높은 가격에 팔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매수 금리보다 매도 금리가 낮을 때 자본 이익이 발생합니다.
3. 손익의 크기를 예측하고 싶다면
앞의 예시를 통해 우리는 시장 금리와 채권의 가격이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원리를 안다면 채권의 가격이 어떻게 달라질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때 꼭 알아야 하는 것은 바로 평균만기인데 전문가들은 평균 만기를 듀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평균만기란 채권에 투자한 후에 원금과 이자가 지급되는 것을 모두 감안해 현금을 회수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즉, 이자와 원금을 실제로 회수하는 기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자를 정기적으로 받는 채권의 만기가 3년이라면? 3개월 후, 6개월 후, 1년 후 등 이자가 지급되는 시점을 감안해서 평균 만기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약 2.7년~2.9년입니다. 반면 만기일에 이자를 한 번에 받는다면 평균 만기는 잔존 만기와 같습니다. 이제 수익률을 예측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평균 만기가 22년, 잔존만기가 30년물인 채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30년물 시장금리가 0.5% 하락했습니다. 그럼 이날 투자자는 약 11%(22년 ×0.5%)의 자본 이익을 얻었다고 추산할 수 있습니다.
< 평균 만기를 어떻게 계산할까? >
방법은 복잡합니다. 원리는 미래에 받을 돈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고, 가중치를 계산한 수에 가중치를 시간과 곱한 다음 계산 결과를 더하는 것인데 흐름을 예측하기 원하는 것이라면 정확히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래와 같이 이자의 크기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추정치를 참고해 예측해도 충분합니다.
① 3년물 : 2.7년 ~ 2.9년
② 5년물 : 4.5년 ~ 4.8년
③ 10년물 : 8.5년 ~ 9년
④ 20년물 : 15년 ~ 17년
⑤ 30년물 : 20년 ~ 25년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