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은행이 2월 25일 기준으로 금리를 0.25% 포인트를 내렸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2.75%로, 2년여 만에 2%대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렇다면 물가와 금리가 안정화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2년 만에 기준금리가 2%대로 온 것이 어떤 영향을 줄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년 만에 기준금리 2%대로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두 번째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3.00%에서 연 2.75%로 0.25% 포인트 내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023년 1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연 3.50%를 유지해 왔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10월 한국은행은 통화정책 방향을 완화 기조로 전환했습니다. 2달 연속 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고, 이번이 세 번째 인하입니다.
2. 금리 낮춘 이유는?
1) 경기 부양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린 것은 경기 부양을 위해서입니다. 한은은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1.6%~1.7%로 낮췄고, 오늘은 1.5%로 전망했습니다. 예상보다 경기 침체의 위험이 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금리를 낮추면 대출과 투자가 늘어나고, 위축된 소비심리를 끌어올려 내수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환율 안정
최근 들어 환율이 비교적 안정됐다는 점도 금리 인하에 힘을 실었습니다.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는 주장의 가장 큰 근거가 고환율에 대한 우려였습니다.
원달러 환율이 오른다는 건 달러가 비싸지고 원화의 가치가 낮아진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기준금리를 낮추면 원화 자산의 수익성이 낮아져서 외국 투자자의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는 과정에서 원화의 가치는 더욱 떨어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금리 인하는 원달러 환율의 상승을 더욱 부추기는 효과가 있습니다.
올해 초 1,480월까지 올라갔던 원달러 환율은 최근 1,430원까지 내려왔습니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이전처럼 급등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판단에 금리 인하를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준금리 인하, 대출을 갚고 있거나 집을 살계획이 있는 분들에게는 기다렸던 소식을 수도 있고, 경기침체가 그만큼 심각한 상황이라는 점에서는 걱정되는 소식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기업 vs 직장인 - 누가 세금을 더 낼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세금을 냅니다. 그런데 개인이 내는 세금과 기업이 내는 세금은 많이 다를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상식일 것입니다. 그런데 개인 자영업이 있고 직장인
hazzza.money-ssalon.com
미국vs멕시코 - 왜 싸우는 걸까?
아실지 모르겠지만 미국과 멕시코는 붙어있습니다. 미국의 남쪽과 국경을 접하고 있고, 인구는 1억 3천만 명에 달합니다. 지리적으로도 너무 가깝고 노동력도 저렴하다 보니 미국과 멕시코는 경
hazzza.money-ssalon.com
캐나다 - 미국제품 불매, 왜?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본격 무역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트럼프는 후보시절부터 관세를 올려 미국 기업을 보호하겠다고 주장했는데 중국은 물론 동맹국에게도 부과하겠다고 선언
money-ssalon.com
철강업계 비상! - 한국도 예외 없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의 이익이라는 슬로건으로 대통령에 당선이 되었는데 이 슬로건처럼 다른 타 국가들에게 관세에 대해 칼을 들었습니다. 우방이라고 생각하는 대한민국에도 예외는
money-ssalon.com
커피가격 줄줄이 인상
우리나라는 조선시대부터 커피를 즐겼다는 문헌이 있습니다. 모두 아시겠지만 고종황제도 커피를 많이 즐겼다고 합니다. 그런 커피를 현재에는 전 세계에서 손에 꼽히는 커피를 많이 마시는 국
hazzza.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