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테크 중 하나는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투자처가 많아졌지만 요즘 같은 시기에는 국내 투자처에서 해외로 주식 투자자가 71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이 추세라면 올해 해외 주식 투자자가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돌파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그럼 왜 개인투자자가 국내가 아닌 해외로 눈을 돌렸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개인 투자자, 한국 떠나 미국으로
해외 주식 투자자는 2021년 588만 명에서 2022년 634만 명, 지난해에는 659만 명으로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반면, 국내 주식 투자자는 2022년 1,440만 명에서 2023년 1,415만 명으로 줄었습니다. 특히 개인 투자자의 30%에 달하는 2030 세대의 이탈 속도가 빠르다고 합니다. 국내 증시를 떠난 투자자는 미구 상장지수편드(ETF)로 발길을 돌렸습니다. 올해 ETF 순자산 증가 상위 10곳 중 8곳은 미국 주식 ETF였습니다.
2. 떠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럿
1) 박스피에 지친 동학개미
투자자 이탈의 가장 큰 원인은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머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3,000까지 치솟았던 코로나19 시기(2020~2021년) 이후, 코스피는 쭉 2,500~2,600선에 머물고 있습니다. 코스피가 2,000대에 진입한 게 2007년이라는 걸 감안하면, 15년 가까이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한 셈이었습니다.
< 박스권 >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뚫지 못하고 일정 가격선 사이에서 오르내리기를 반복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2) 불확실한 금투세도 변수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여부를 두고도 논란이 끊이질 않습니다. 금투세 폐지를 주장하는 이들은 예정대로 내년 1월 금투세가 도입된다면 국내 증시 큰손이 대거 이탈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 금융투자소득세 >
주식이나 채권, 펀드 같은 금융 상품에 투자해 연 5,000만 원 넘는 수익이 났을 때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수익의 20%~25%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2020년 여야 합의로 작년부터 시행하기로 했지만, 개인 투자자의 반대로 2025년까지 시행이 유예됩니다.
3) 국민주 하락세도 한몫
국내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던 주요 종목의 부진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내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 주가는 최근 5만 원대까지 주저앉았습니다. 지난해 급상승했던 이차전지 관련 주식도 전기차 수요 둔화에 하락세입니다.
4) 무분별한 주식 발행도 문제
복수 상장과 유상증자 등으로 국내 발행주식 수가 증가하면서 주주 가치가 희석됐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으로 주주 환원에 적극적인 미국과 상반되는 모습입니다.
3. 국내 증시 밸류업 시급해
상황이 이렇다 보니 증시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다행히 최근 자사주를 소각한 상장사가 지난해 보다 약 두 배 늘어난 점은 긍정적. 또한, 한국거래소가 코리아 밸류업 지수 구성 종목을 정기적으로 변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때문에 한동안 기업의 가치 제고 계획 공시와 자사주 소각 공시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 코리아 밸류업 지수 >
정부의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일환으로 지난달 발표된 지수입니다. 시가총액과 거래대금 등의 규모 요건과 수익성, 주주환원, 시장평가, 자본효율성 등을 고려해 종목을 결정합니다. 첫 선정에선 코스피 67 종목, 코스닥 33 종목을 포함한 총 100 종목이 발표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금투세도 얼른 방향을 잡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대통령은 지난 10월 15일 금투세 폐지를 주장하며 시장 불안 요인 제거에 여야가 힘을 모아달라고 강조했습니다. 폐지를 강력히 주장하는 여당과 달리, 내년 시행 여부의 키를 쥔 야당은 아직 확실한 입장을 정하지 못했습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해외 주식으로 갈아타는 개인 투자자가 늘고 있습니다.
②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게 주원인으로 꼽힙니다.
③ 투자자 보호 대책 등 해결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미국의 빅컷, 우리나라 금리는?
대한민국의 최대 우호국이라고 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P를 내린다는 빅컷을 발표했는데 많은 것을 수출입하는 우리나라와 또 다른 많은 나라들의 반응은 어떠
money-ssalon.com
테슬라의 로보택시 - 투자자는 왜 실망했을까?
지난 10월 초, 테슬라가 무인 로보택시 사이버캡을 공개했는데 테슬라가 차세대 모빌리티 핵심 사업으로 공들여온 만큼 관심이 뜨거웠는데 공개 후, 시장의 반응은 예상과 달랐습니다. 1. 완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