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디셀러 반찬 김 - 10년 만에 수출 840% 증가!
어렸을 때부터 반찬이 없다면 김 한 장이면 한 그릇 뚝딱하던 반찬이었습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해외로 수출한다는 소식과 해외에서 반찬이 아닌 스낵으로 아이들 간식으로 뜨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소식이 얼마 안 된 것 같았는데 수출 840%나 증가했다는 소식은 정말 천정부지의 상승률입니다. 그 외에 소식을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검은 반도체 김, 수출 신화 새롭게 썼다.
김이 K-수산물의 대표 스타로 떠올랐습니다.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 8,100만 달러(약 4,020억 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수출량도 1만 톤을 넘기며 10년 전보다 840% 증가했습니다. 세계 김 시장에서 우리 한국산 김의 점유율은 70%에 달해, 이제 한국은 명실상부한 김 수출 강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김 수출 호조의 배경엔 글로벌 식문화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식과 집밥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비건 식품이자 할랄푸드인 김이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K-콘텐츠 열풍이 더해지며 김밥이 세계적 인기를 끌었고, 조미김은 저칼로리 간식으로 자리매김해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에서 꾸준한 수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출 성과와 달리 어민들의 표정은 밝지만은 않습니다. 김을 수출하려면 물김을 1차로 마른김으로 가공한 뒤, 다시 조미김으로 2차 가공해야 하는데, 올해 물김 생산이 크게 늘었지만 이를 감당할 가공 시설이 부족해 약 6천 톤이 폐기됐고, 물김 가격은 전년 대비 절반 이상 하락했습니다. 반면 마른김과 조미김은 여전히 높은 가격에 거래되며, 생산과 유통구조의 불균형이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 수입 규제도 강화 >
될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은 신안군의 염전에서 강제노동이 있었다며 소금 수입을 금지한 바 있는데, 김 역시 일부 지역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인권 침해 사례가 제기된 적이 있어서 K-GIM의 글로벌 명성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2. 트럼프 vs 파월, 뉴욕 증시는 롤러코스트
지난 21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을 공개적으로 압박하며 연준의 독립성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금리 인하를 재차 요구하며,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할 경우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발언해 사실상 파월 의장에게 퇴진을 종용했습니다.
< 연방준비제도 >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비슷합니다. 금리를 조절해 경제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경기가 나쁘면 금리를 낮춰 돈이 잘 돌게 하고, 물가가 너무 오르면 금리를 올려 과열된 경기를 식힙니다.
파월 의장은 단호한 태도로 맞섰는데, 그는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에 선을 그었고, 정치적 외풍에 흔들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토영의 반복적인 금리 인하와 퇴진 요구에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한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갈등이 격화된 바로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을 해고할 생각은 없다라며 사퇴 압박 논란을 진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는데, 중앙은행의 독립성이 훼손될 경우 미국 경제가 혼돈에 빠질 것이란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3. 프란치스코 교황, 88세로 선종
전 세계 14억 가톨릭 신자를 이끌어온 프란치스코 교황이 4월 21일, 향년 88세로 선종하셨습니다. 교황청은 그가 주님의 품으로 돌아갔다고 공식 발표했는데, 검소함과 겸손함으로 상징된 그의 삶과 죽음은 그 자체로 깊은 울림을 남기는 유산이 되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임 기간 내내 가난한 이들의 교황이라는 별명처럼, 권위를 내려놓고 소외된 이들과 함께 해왔습니다. 허름한 신발을 신고, 사제용 공동 숙소에서 생활했으며, 교황 전용 차량 대신 소형차를 이용했습니다.
그의 삶의 철학은 선종 이후에도 이어졌는데, 그는 생전에 장례비를 미리 준비해 뒀고,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로마산타 마리아 마조레 성당의 지하 무덤에 특별한 장식 없이 묻어달라고 유언했다고 합니다.
그가 남긴 재산은 고작 100달러(약 14만 원) 일 정도로 평생을 청빈하게 살았지만, 그 누구보다 강력한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세월호 참사와 미얀마 로힝야족 인권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등 세상의 아픔 앞에서 늘 공감과 연대의 목소리를 냈고, 마지만까지 가자지구의 평화를 위한 호소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세상은 그를 떠나보냈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을 것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근로시간 단축 - 주 4일제 vs 4.5일, 어떨까?
지금은 주 52시간, 5일제 근로가 익숙해졌는데 앞으로는 4일제와 4.5일제를 민주당에서 공약을 내놨다고 합니다. 52시간으로 바뀔 때도 연봉이 높은 사람은 떨어지는 월급에 대해 많은 문제가 없
money-ssalon.com
애플 아이폰 - 300만원에 살 수도 있다!!!
요즘 뉴스에서는 시끄러운 소식들이 너무 많습니다. 국내에선 탄핵 때문에 시끄럽고 국외로는 미국의 트럼프대통령 때문에 관세 이야기로 시끄럽습니다. 이 관세를 자세히 알아보자면 내가 좋
money-ssalon.com
저가커피 - 줄줄이 가격 인상
전 세계에서 커피를 많이 이용하는 국가 중 열 손가락에 꼽히는 애용 국가 중 하나가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외국 관광객이 한국에 왔을 때 거리에 많은 커피숍을 보고 놀란다고 합니다. 한 겨울
money-ssalon.com
전국은 미세먼지 주의보
엊그제 날씨가 심상치 않았습니다. 신비롭기까지 했는데 처음엔 안개인 줄 알았는데 안개와는 다른 뭔가가 섞여 있다고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 현상이 좋지만은 아닌 것이 상식적으로 알고 있
hazzza.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