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집값은 매매도 전세도 월세도 너무 비쌉니다. 특히 서울시내라면 더욱더 비쌉니다. 그래서 이번에 이사를 하면서 친구와 함께 동거를 할까 합니다. 월세부담을 줄이려고 말입니다. 방 두 개인 월셋집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도 받고, 청년 관련 청약 제도도 활용하고 싶은데 친구랑 같이 살아도 가능할까? 같이 알아보고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해 봅시다. 1. 친구와 살아도 받을 수 있습니다. ① 한 집에 살아도 세대주는 두 명이 되어야 합니다. ② 계약 시 공동명의는 필수입니다. ③ 청약도 따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세대주가 되어야 합니다. 사연자님이 말씀하신 제도들을 이용하려면 일단 세대주가 되어야 합니다. 즉, 부모에게 독립해서 세대를 꾸려..

요즘 시장금리가 낮아지면서 전세는 좀 버겁고 그렇다고 월세는 왠지 손해 보는 느낌이고 이럴 때 반전세를 생각하시는 분들이 왕왕 있을 겁니다. 저도 그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반전세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전세와 월세에 대한 개념은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반전세라는 내용에 대해서는 좀 낯설기에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반전세의 정의와 장단점 그리고 주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반전세 매월 차임을 지불하는 월세계약과 비교적 보증금이 큰 전세계약을 혼합한 방식이 반전세입니다. 통상적으로 보증금이 월세의 240배(20년 치) 보다 많은 걸 반전세라고 합니다. 월세와 비교하면, 보증금은 더 많이 맡기고 매달 내는 집세는 더 저렴합니다. 그래서 전세만큼 목돈을 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