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도 부러워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국민 건강을 위한 보험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소득이 많던 적던 국민건강보험에서 무료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이 없는 취준생도 집에서 전업주부로 일하는 주부도 이 정책에 대상입니다. 같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건강보험 대상 이렇게 구분 직장을 다니고 있다면 직장가입자로, 직장을 다니지 않는다면 보통 지역가입자로 구분합니다. 만약 소득과 재산 요건이 맞으면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소득 조건 ① 사업자등록자로 사업소득이 없는 경우 ② 사업자등록이 없고 사업소득이 연간 500만 원 이하 ③ 모든 소득(사업ㆍ금융ㆍ연금ㆍ근로..

우리나라에서 2년에 한 번씩 국가건강검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빠서 건강검진을 미처 받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우리는 매달 국민건강보험(건보료)을 납부합니다. 이때 우리가 받는 혜택 중 본인부담상한제라는 제도가 있는데 만약 국가건강검진을 받지 않으시면 매달 애써 납부하고 있는 이 혜택을 지원받지 못합니다. 잘 알아보고 꼭 검진받기 바랍니다. 본인부담상한제란? 과도한 의료비로 인해 부담을 덜기 위해 환자가 부담하는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이 개인별로 상한액을 초과할 경우 그 초과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하는 제도입니다. *본인 부담금에서 비급여, 선별 급여, 전액본인부담, 임플란트, 2인~3인실 입원료, 추나요법, 상급종합병원 경증질환 등은 제외됩니다 국민건강보험 알아보기 산정특례란? 병원 진료비..

건강보험료 환급금 꼭 신청하고 받으세요. 원래명칭은 본인부담상한제입니다. 말 그대로 본인이 부담한 상한액을 초과한 의료비에 대한 환급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국민건강보험 쪽에서 찾아가라 통보를 해주는 시스템은 또 아닌 겁니다. 그래서 본인이 직적 확인하고 신청해서 받아야 하는 겁니다. 그러니 빨리 알아보고 환급을 받길 추천드립니다. 건강보험료 환급금 확인 및 신청방법 확인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② 로그인 → 금융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후 접속 ③ 환급금 조회/신청 클릭 ④ 바로 확인 가능 ⑤ 환급금 조회/신청 시간 - 07:00 ~ 24:00까지 가능 신청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② 민원 여기요 → 개인민원 → 환급금 조회/신청 ③ 본인인증(금융공동인증서 또는 간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