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생을 살면서 한 번쯤은 내고 싶은 세금이 있습니다. 많이 내기 싫은 것이 세금인데 요즘은 말 그대로 한 번쯤 꼭 내 보고 싶은 세금으로는 종부세입니다. 일명 종부세. 종합부동산세의 줄임말인데, 자산 규모가 상당히 커야 납부 대상이 되기 때문에 부의 상징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럼 대체 어느 정도의 부동산을 갖고 있어야 종부세를 내는 것인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UIZ. 부부가 공동소유한 공시가격 20억 원, 1 가구 1 주택 아파트가 있다면 종부세를 얼마나 낼까요? ① 0원 ② 50만 원 ③ 100만 원 1. 집값 얼마부터 종부세를 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올해는 1 가구 1 주택 기준 공시가격이 12억 원을 넘는 집부터 종부세 납부 대상입니다. 다주택자라면 공시가격 9억 원 이상부터 종부세..

종부세, 즉 종합부동산세에 대한 이야기가 솔솔 나오고 있습니다. 고가던 저가던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부과대는 세금인데 이 세액을 낮추겠다는 즐거운 소식입니다. 요즘 다 아시겠지만 물가와 금리가 너무 올라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실정입니다. 마트에서 장을 봐도 단 돈 10만 원으로 몇 가지 안 되는 물건을 구입합니다. 정말 많이 힘든 요즘인데 정부에서 세금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한다니 좋은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니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부세 정책, 어떻게 달라졌을까 종부세는 종합부동산세를 줄여 부르는 말로, 법으로 정한 기준보다 비싼 땅이나 집을 가진 사람한테 부과되는 세금을 뜻합니다. 주택 공시가격에서 공제 금액을 뺀 값에 세율을 곱하는 과정 등을 거쳐 산출됩니다. 지난 ..

주택을 상속받은 후 내가 가지고 있던 1 주택에서 2 주택으로 늘어났다면 어떻게 세금을 내야 하는지, 잘못하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하는데,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모를 때가 너무 많습니다. 특히 상속, 증여 같은 세금관련해서는 더욱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저도 그랬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찾아도 너무 어려운 단어들이어서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들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찾아보았습니다. 저와 같은 분들도 어렵지 않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 상속으로 일시적 2 주택자가 된 경우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과세 여부와 상속인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피상속인의 재산 및 채무의 확인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주택 상속 시 상속공제 사례 ▶사례 1. 주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