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연말에는 커다란 보너스가 나옵니다. 일명 13일의 월급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뱉어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를 해 보았다면, 절세나 환급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을 겁니다. 그중 잘 알려진 게 연금저축입니다. 종류가 두 가지입니다.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 두 상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세액공제 되는 연금저축계좌 두 상품 모두 절세 효율이 높습니다. 2023년 1월 1일 ~ 12월 31일 가입 후 납입하면 최대 16.5%를 돌려받습니다. 100만 원 넣으면 16만 5,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ㆍ근로소득만 있다면 총 급여 기준 5,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기준 4,500만 원 이하면 15% ㆍ그 이상이..

퇴직연금은 열심히 일한 직장들에게는 노후자금으로 생각되는 연금 중 하나일 것입니다. 아주 예전에는 은행에 적금을 들어두는 것을 최선이라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퇴직연금 투자에 관심 있는 직장인들은 퇴직연금을 은행에 묵혀두고 있는데 일부 보험사 퇴직연금 계좌에서 ETF 거래가 가능해진다고 들었습니다. 은행에서도 ETF 거래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DC나 IRP에 가입할 때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는 무엇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같이 알아보고 내 퇴직연금을 비교해 보도록 합시다. 1. 투자 상품 종류와 계좌 관리 비용이 다릅니다.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는 퇴직연금 계좌를 통해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의 범위와 계좌 관리에 필요한 수수료가 다릅니다. 최근 퇴직연금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거래 수수료가 저렴하고 운용 보수가..

요즘 같은 100세 시대에는 은퇴 이후의 삶도 미리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노후 준비의 핵심은 바로 연금인데, 연금은 크게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세 가지로 나뉩니다. 은퇴 후의 삶을 위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개념 종류 내용 공적연금 국민연금 전국민 위무 가입 특수직역연금 공무원, 교직원, 군인 등 대상 퇴직연금 확정급여(DB)형 회사에서 정한 퇴직금을 지급 확정기여(DC)형 근로자의 운용 실적에 따른 퇴직금 지급 개인연금 연금보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 상품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연금 상품 개인형 IRP 근로자가 자유롭게 가입하는 퇴직연금 상품 1. 나라가 관리하는 공적연금 국민들의 기본적인 노후 생활을 위해 나라에서 운영하는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