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가 가면서 제일 큰 일중 하나는 연말정산입니다. 이 연말정산에서 얼마나 더 많은 공제를 받느냐에 따라 연말이 풍성해질 수도 아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연금저축은 세액공제의 꽃이라는 말이 있듯이 연말정산에서는 세액공제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금계좌는 계좌 안에 들어있는 저축액에 따라 세액공제 혜택이 다르지만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한 번에 10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알아둬야 합니다. 1. 얼마나 받을 수 있나?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를 충분히 대비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나라에서는 사적연금 가입을 권장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연금으로 납입한 금액의 일부를 세금에서 돌려주는 것인데, 총급여가 5,500만 원 이하면 납입한 금액의 16.5%를, 5,500만 원 ..

이번 연도 연말정산부터 바뀌는 것을 알아보려 합니다. 연말정산은 해마다 세부 제도가 조금씩 변경되어 굉장히 헷갈리는 게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새로 생긴 공제 항목과 흔히 하는 실수는 무엇인지 미리 알아보고 꼼꼼히 챙겨 보시길 바랍니다. 1. 새로운 공제 항목 확인해 봅시다. 2023년 연말정산부터 새롭게 공제받을 수 있거나 공제율이 늘어난 주요 항목을 정리해 봤습니다. 1) 영화관람료 2023년 7월 1일 이후에 쓴 영화관람료는 소득공제가 됩니다. 단, 연 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사람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2) 교통비 대중교통 비용의 기존 소득공제율은 40%였는데 2023년부터 80%로 대폭 늘어나고, 공제한도도 커졌습니다.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라면 300만 원에서 6..

연말이 되면 설레기도 걱정도 됩니다. 왜냐하면 내년의 고민이 시작되고 연말에는 13월의 월급을 받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으로 설렙니다. 그래서 2024년 1월에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공제 자료 대부분은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만, 일부 서류는 직접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 당연히 될 거라고 생각했다 놓치는 일이 생길 수 있으니 미리 챙기고 연말보너스를 같이 받아봅시다. 1. 미리보기에 안 뜨는 서류, 꼼꼼히 챙깁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에서 조회된 서류를 살펴보며 공제 해당 여부를 체크해 봅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에는 내가 공제받을 수 없는 서류도 함께 조회됩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가령 의료비는 총급여의 3%를 초과해야 1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3%보다 적게 썼더라도 ..

연말이 다가올수록 해야 하는 일이 있습니다. 연말정산. 이 연말정산이 얼마가 될지 너무나 궁금한 것이 환급을 받을 수도 다시 돌려줘야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환급금을 미리 알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세청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를 오픈했기 때문입니다. 홈택스에서 지금까지 사용한 신용카드 금액 등을 토대로 환급액을 계산해 볼 수 있는데, 그에 맞는 절세 전략을 단계별로 소개하겠습니다. 1. STEP1. 환급액 미리 보기로 확인 우선, 미리 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세금을 환급받을지 아니면 더 내야 할지 파악해 봅니다. 2023년 9월까지 사용한 카드금액은 이미 입력되어 있으니, 10월~11월에 사용한 금액과 12월 예상 금액을 추가로 입력하면 됩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미리보기 2. 인적..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꼭 받고 싶은 월급이 있습니다. 13월달의 월급입니다. 처음 받는 연말정산서에서 마이너스(-)가 있다면 좋아해야 합니다. 전 다시 돌려줘야 하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마이너스(-)는 환급받는다는 걸 알았습니다. 다양하고 복잡한 절세혜택. 모두 누리고 싶지만 몰라서 놓칠 때가 많습니다. 국세청에서 안내하는 절세 사례를 통해 놓친 혜택이 없는지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1. 첫째, 결혼하면 못 받는 줄 알았습니다. 10년간 중소기업에서 일한 직장인 여성입니다. 결혼과 동시에 퇴사하고 3년 후, 같은 업종의 다른 중소기업에 다시 취업했는데 중소기업취업자 소득세 감면 제도를 이용하고 싶었지만, 청년만 해당한다고 생각해 신청하지 않았습니다. 경력단절여성도 중소기업취업자 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