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에서 사는 청년들에게 좋은 소식 하나가 왔습니다. 사회에 나오면 내 집마련을 위해 청약적금을 든다던지 하는 일들을 합니다. 그래서 청년들을 위한 많은 정책과 혜택이 있었습니다. 그중 작년 말에 큰 이슈를 불러일으켰던 청년주택드림통장을 기억하실 겁니다. 최대 4.5% 이자에 청약에 당첨되면 저금리 대출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인데 오늘부터 신청을 받습니다. 단, 청년만 적용된다는 소식입니다.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문턱은 낮아지고, 혜택은 늘어나고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무주택 청년에게 더 좋은 금리와 소득공제 혜택 등을 제공해 주는 청년 전용 청약통장입니다. 기존의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서 가입 조건은 완화하고, 혜택은 확대한 상품입니다. ① 나이 : 만 19세~만 34세..

캥거루족인 저도 청약이 될까요? 마케팅 기획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입니다. 청약을 고민하고 있는데 사회생활 초기에 금리가 높은 줄 알고 청약통장에 돈을 저축했습니다. 이제 청약통장에 목돈이 있으니 욕심이 생겨 내 집 마련을 하고 싶습니다. 문제는 고정 지출이 크다는 겁니다. 현재 본가에 거주하며 부모님 대신 집 대출금을 매달 70만 원씩 갚고 있어, 가용예산이 부족해 당첨되어도 계약금이나 잔금을 치를 수 있을지 가늠이 되지 않습니다. 이 상황에서 청약에 도전하는 것이 무리일까요? 내 일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캥거루족 탈출 프로젝트 1) 캥거루 님의 머니파일 - 직업 : 직장인 - 나이 : 32세 - 총 경제활동 기간 : 6년 - 소득 형태 : 근로소득(월급) - 연 소득 : 5,040만 원(세전..

청약 포스팅을 이어 다섯 번째로 줍줍 무순위 청약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 저는 이 줍줍이 청약이란 말을 처음 들어봤습니다. 그런데 청약에 관심이 있거나 한 번이라도 아파트 청약을 경험해 보신 분들은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줍줍이라는 단어는 아파트를 주워 담다는 의미로 현금을 많이 보유하신 분들이 해당 아파트 잔여세대를 계약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럼 다 같이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줍줍 정보는 여기서 얻습니다. 청약홈에서 확인하고, 잔여세대 물량이 언제 풀릴지 모르니 수시로 방문해야 합니다. 줍줍분양 알아보기 청약홈 → 청약일정 및 통계 → 분양정보 / 경쟁률 → APT 무순위 / 잔여세대 확인 1) 무순위 청약이란 무엇일까? 아파트 분양 시 가점제가 적용되는 일반 청약에서 계약이 안된 물량 중에 추..

2023년도 달라지는 청약제도가 있습니다. 이르면 8월, 새로운 주택청약제도가 발표됩니다. 민간 청약제도 전면개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 동안 청약이 쉽지 않았던 청년들을 위한 제도도 도입할 예정이랍니다. 같이 알아보고 나도 청약조건이 되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제도, 이렇게 달라집니다. 청약점수를 쌓기 힘든 2030은 추첨제를,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은 4050은 가점제를 늘리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편됩니다. 그동안 청약제도의 중심은 가점제였습니다.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주기 위해 가점제를 적극 권장해 왔습니다. 서울의 85㎡ 이하 주택의 경우 100% 가점제로만 공급하고 있습니다. 청약 가점제 만점은 총 84점 무주택 기간 15년 이상(32점)+부양가족 6명 이상(35점)+..

청약, 준비하고 계신가요? 내 집 마련은 대한민국 지금 현 상황에서는 꿈이라고 봐도 좋습니다. 청약을 아는 모든 이들이 청약은 로또라고 불릴 정도로 당첨되기가 힘들 정도 인걸 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낮은 확률을 뚫고 로또 당첨자는 매주 등장합니다. 그런데 그 당첨자 중 나는 물론이고 내 주위의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도 청약 로또에 당첨될 수 있을까? 전략적으로 접근해 봐야 할 겁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청약은 성적순입니다. 청약에 당첨되려면 1순위 조건(청약통장 가입기간, 납입 횟수/ 납입금)은 기본이고, 그 안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합니다. 점수의 기준은 국민주택이냐 민영주택이냐에 따라 다릅니다. 국민주택 VS 민영주택 국민주택 : 기본적으로 3년 이상 무주택세대..

어느 지역이든 상관없이 내 집을 갖는다는 것은 큰 고민이자 꿈이 되어버린 현실입니다. 그중에서도 낡은 것보다는 새 아파트를 매매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큽니다. 그래서 분양하는 새 아파트 청약은 안정적인 주거와 사세차익을 한 번에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난 경쟁률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그 경쟁률에서 나는 당첨이 될 거라는 희망을 가지고 청약을 가입합니다. 청약, 나도 한 번 해보고는 싶은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청약초보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청약통장, 왜 만들어야 할까? 청약통장은 아파트 청약을 위한 기본 준비물입니다. 매달 2만 원 ~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넣을 수 있는데, 국민주택의 월 최대 인정금액인 10만 원 이내로 투자하는 걸 추천합니다. 이렇게 청약통장에 돈을 차곡차곡 쌓아놓으면 소득공제 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