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도주식 - 투자 대세 바뀌고 있다!

최근 다시 바닥을 찍고 상승하고 있는 인도. 이게 과연 반등의 시작일지. 이번 시간에는 인도 주식시장의 부진을 초래했던 세 가지 요인과 향후 전망을 짚어보려 합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도 주식 시장의 벨류에이션 멀티플2024년 가을, 인도 주식시장은 연일 신고가를 기록하며 뜨거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대표 지수인 NIFTY 50이 26,000선을 돌파하고 12MF PER(12개월 예상 주가수익비율)이 23배까지 치솟는 등 시장의 기대감을 선 반영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글로벌 밸류체인의 변화, 인도의 중장기 성장 기대감, 그리고 신흥국 시장 내 인도에 대한 자금 유입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당시 미국의 12MF PER은 21.6배, 선진국 평균은 19.8배로 인도보다 낮았습니다..

정보 2025. 5. 22. 08:42
기축통화와 비기축통화, 뭐가 달라?

지금처럼 경제 상황이 빠르게 변하는 시기엔 미국의 달러 같은 기축통화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반면에 비기축통화는 가치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두 통화가 어떻게 다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축통화국제 외환시장에서 중심이 되는 통화입니다. 국제무역과 금융 거래에서 가장 많이 쓰입니다. 신용등급이 우수하고,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나라의 화폐만 기축통화로 인정받습니다. 경제적 안정성이 곧 화폐 가치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은 국가 간의 거래를 대비해 외국통화를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기축 통화로 채웁니다. 기축통화가 많을수록 세계 경제에서 큰 힘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기축통화는 미국의 달러입니다. 어느 나라에서나 자유롭게 쓸 수 있어서 환전도 쉽고 수수료도..

정보 2025. 5. 22. 07:09
사망보험금 - 연금으로 받을 수 있을까?

사건들을 보면 그 이유가 보험금 때문인 것으로 나옵니다. 그중 사망보험금 때문에 제일 안 좋은 사건들도 일어납니다. 그런데 그런 사건들을 일으키는 사람들이 대부분이 아니라 진짜 보험이라는 의미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어쩌면, 혹시라는 의미로 보험을 드는데 다행히도 이 보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제일 좋은 일일 것입니다. 그런데 이 보험금을 사용하지 않고 계속 보험료만 한 달에 한 번씩 꼬박꼬박 내는데 노후를 위해 원금을 연금처럼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저처럼 궁금하신 분들은 저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사망보험금 - 연금으로 받을 수 있을까?① O ② X 더 알아보자!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이뤄진 연금 개혁 - 청년은 소외됐다?드디어 국회에..

정보 2025. 5. 21. 08:52
주택담보대출 한도 - 최대 1,200만 원 줄어

하반기부터 가구당 평균 소득 수준인 사람이 수도권 지역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받고자 하는 경우 한도가 최대 1,200만 원 줄어들 전망이라고 합니다. 정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도입하면서 수도권 주담대에 적용되는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가 인상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어떻게 될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리 상승 가능성을 미리 반영합니다. 소득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로, 내가 버는 돈 중 얼마를 빚 갚는데 쓰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금융 기관에서는 대출 한도를 정하는 기준으로 DSR을 활용합니다. 은행 등 1 금융권에서는 1억 원 이상의 대출에 대해 연간 갚아야 하는 원리금이 소득의 4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습니..

정보 2025. 5. 21. 07:26
치킨이 36,000원 - 먹는다 vs 안 먹는다

닭은 주제로 한 한국영화들이 있습니다. 그중 제일 흥행한 영화 극한직업.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 이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 장담합니다. 주인공인 마약반의 형사들이 범인을 잡기 위해 위장한 직업이 치킨집입니다. 그런데 의외로 장사가 너무 잘되고, 가격이 올렸는데도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게 됩니다. 이 장면에서 두 가지의 경제현상을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 어떤 현상들이 생긴 것인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상품의 가격이 비싸지면 수요가 늘어날까? 줄어들까?① 늘어난다 ② 줄어든다 1. 비쌀수록 더 맛있어 보인다?극 중 형사들은 위장용으로 차린 치킨집에 손님이 찾아오자 얼떨결에 왕갈비 통닭을 개발하게 되는데 입소문이 나서 본업인 잠복근무를 할 시간이 없어집니다. ..

정보 2025. 5. 20. 08:10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 사용하면 환급 받을 수 있다.

지난 5월 11일부터 9월 30일까지,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환급 행사가 진행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매주 최대 2만 원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환급 행사는 일주일 단위로 총 20주 동안 진행된다고 합니다. 매주 1만 원이상 결제 시, 사용한 금액의 최대 10%를 환급해 줍니다. 일주일 동안 최대 2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1,000원 단위로 지급하기 때문에 상품권으로 3만 3,000원 결제했다면, 3,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평소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은 10%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데, 이번 행사 기간에 10% 환급을 추가로 받아 최대 2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2. 이렇게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 2025. 5. 20. 07:03
당근 - 중고거래를 하면 GDP가 오를까?

혹시 당근이세요?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다 알 것입니다. 중고거래의 대명사가 된 야채, 당근. 현재 우리나라의 중고거래 시장 규모가 올해 43조 원을 돌파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고물가가 계속되고 있는 요즘, 새 제품을 사기보다는 좋은 중고를 착한 가격에 사서 사용해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중고 거래가 늘면 새 제품을 구입하듯이 GDP가 오를까 궁금해졌습니다. 어떤 내용일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GDP는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의 합입니다.국내총생산(GDP)은 개인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 지출로 이뤄집니다. 보통 새로 만들어진 부가가치의 합을 말합니다. 자전거를 예로 들어봅시다. 본체 제작 회사가 만든 부가가치 30만 원, 바퀴 제..

정보 2025. 5. 19. 08:40
관세 - 비트코인에 영향을 줄까?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폭탄은 다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 사건으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있는데, 지난 4월 2일, 트럼프는 모든 미국 수입품에 기본 10%의 관세를 매기고, 국가별로 최대 50%에 육박하는 상호 관세를 발표했는데, 중국은 즉각 반발하며 미국에 보복 관세를 선포했고 4월 3일, S&P500은 -4.84%, 나스닥지수는 -5.97% 폭락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트럼프를 향한 국제 사회의 불신으로 달러마저 하락했습니다. 이런 혼란 속에서 비트코인은 어떤 모습을 보였을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위기엔 안전자산이 시기 유일하게 오른 것은 금입니다. 주식과 달러가 같이 떨어지는 위기에 금은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며 폭등했는데, 은행 시스템 붕괴, 경기 침체, ..

정보 2025. 5. 19. 07:38
미ㆍ중 관세 합의 - 누가 이긴걸까?

시끄럽고 어지러운 요즘, 최대 우방국이라 생각하는 미국에서 뒤통수를 치는 것처럼 관세를 들고 나왔습니다. 참 어려운 내용이지만 쉽게 생각하면 더 많이 뜯어가고 싶은 마음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조심조심해야 할 텐데 뉴스에서는 중국과의 관세전쟁 이슈로 시끄럽습니다. 꽤 된 이야기지만 어떻게 될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ㆍ중 관세전쟁 - 90일 휴전미국과 중국이 장기화된 관세 전쟁을 일시 중단하기로 합의했습니다. 12일(현지시각)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 협상 끝에, 양국은 90일 동안 상호 관세를 각각 115%P씩 인하하기로 했는데, 이에 따라 미국의 대중 관세는 145%에서 30%로, 중국의 대미 관세는 125%에서 10%로 조정됐습니다. 이번 합의는 보호무역 기조로 위축됐던 ..

정보 2025. 5. 17. 07:26
에너지 절약 두드림 적금 - 전기 아낀 만큼 우대금리 받는 적금이 있다!!!

드디어 점점 무더운 여름이 가까이 오는 느낌이 듭니다. 온도가 25도 가까이 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작년보다 더 더울지 걱정이 되고 그만큼 전기세 걱정도 큽니다. 이러한 걱정을 보상이라고 해주듯이 정부에서는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금리 혜택을 주는 적금을 출시했다고 합니다. 이 제도는 에너지 절약 두드림 적금인데 최대 7.2% 금리를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기를 아끼면 금리가 오릅니다.▶ 가입기간 : 5월 12일 ~ 5월 23일 가입 후 2025년 6월부터 6개월간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최대 3.5% 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더 받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5% 넘게 줄이면 3.5%p, 0.5% 이하로 줄이면 1.5%p 더 받는 것입니다. 기본 이자율..

정보 2025. 5. 16. 08:19
이전 1 2 3 4 ··· 83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